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졸업
스페셜
"
학위 취득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의 입장으로 과학을 전달하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그렇지도 않습니다. 학교에서 길러지는 여성 과학인은 매우 많아요. 박사
학위
취득
자 비율도 여성이 30%를 약간 밑도는 수준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 이공계 교수는 80% 이상이 남성입니다. 일반 사기업 연구소도 다르지 않죠. 이러한 문제를 향후 여성과학기술계에서 풀어야 합니다. 물론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KISTI
l
2015.11.14
국내 활성화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1961년 영국 노팅엄 대학에서 박사
학위
를
취득
한 그는 전기제어공학이론을 원자력발전 안정성에 응용한 연구로 원자력 발전에 큰 도움을 줬다. 한만춘 박사는 산학협력의 기틀을 닦는 일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국무총리실 평가교수, 국제기능올림픽 한국위원회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
2015.06.23
호리바 신기찌 교수 밑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이태규 이학박사
학위
취득
보도 - 동아일보 - 1931년 7월 20일자 제공 일제강점기였던 1931년, 많은 차별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태규는 일본에서 이학박사
학위
를 받았다. 우리나라와 일본 언론에서는 화제를 낳았지만,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이태규가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뢴트겐은 1869년 취리히 대학에서 단 1년 만에 열역학 분야의 물리학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이후 뢴트겐은 평생토록 존경한 실험물리학자 아우구스트 쿤트 ... 생각으로 과학적 성과에 만족해서라기보다는 인류애적인 면에서 특허를
취득
하지 않았다. 그러나 세상은 뢴트겐에게 친절하지 않았다. 제1차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
IBS
l
2014.10.10
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
를
취득
했다. 이후 197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에 물리학과 학과장('97~'99)과 물리학부 학부장('00~'04), BK21 서울대 물리연구단 단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 2013년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
KAIST
l
2014.05.16
모든 연구실 ‘식구’들은 연구실에 들어오면 자신이 지금 박사
학위
를
취득
했다고 가정하고 그때부터 60세가 될 때까지의 미래 이력서를 제출하는데, 이렇게 각자 자신이 작성한 미래 이력서가 동기부여가 되어 연구에 매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인터뷰 중 연구실 석·박사 학생들에 대한 이 ... ...
‘인내’와 ‘상상력’이 바이오기업의 성공 키워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전공한 김 박사는 텍사스대학에서 발생학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이 때문에 단순히 벤처 분석과 기업 ... 4 바이오텍 ALKERMES 근무 - 텍사스대학 발생학 박사
학위
취득
- 카네기멜론대 MBA 졸업 - 스위스 바이오기업 노바티스 어소시에이트 디렉터 - 2009~현재 옥스퍼드바이오사이언스파트너스 매니징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회장을 맡고 있다. 신 박사는 이민 1세대다. 서울대에서 박사
학위
를 받은 그는 일리노이주립대에서 박사후과정을 마치고 제약업계에 몸 ... 기초연구도 수익성이 보장되는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이 과제
취득
이 쉽도록 도와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기간 내다보고 사업화 투자비율 늘려야 신 박사가 ... ...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센터 구축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09.06.09
경우가 많다. 의사지만 박사
학위
도
취득
한 ‘연구형 의사’를 희망하는 ... 또 임상의사가 언제든지 박사
학위
를
취득
해 과학자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 임상에서 쌓은 경험을 가지고 연구에 몰입할 기회를 주자는 것이다. ▽박 국장=임상 의사들의 연구개발 참여를 강화하고, ... ...
이전
7
8
9
10
1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