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
편리
스페셜
"
편이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해야 한다. 그보다는 차라리 우주의 모든 것이 가만히 있고 지구가 돈다고 생각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지구가 자전하면서 공전한다는 개념은 일상 경험과 결합했을 때 큰 저항감이 생길 수밖에 없다. 지구가 그렇게 돌고 있다면 그 위의 모든 물체와 인간이 지구 밖으로 튕겨 나가지 않을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쑥스러움이 많을수록 친구가 필요하다
2019.09.28
뜻이다. 보통 자신감이 부족할수록 자존감도 떨어지고 우울한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
지만, 똑같이 자신감이 부족해도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서는 이러한 현상이 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와의 관계가 좋은 것은 자존감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고, ‘친구’ 또는 ‘연인’과의 관계가 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투명인간'의 슬픔
2019.09.14
의미감을 잃지만 무시를 ‘하는’ 사람은 반대로 자존감과 통제감, 삶의 의미감을 얻는
편이
라는 점이다. 무시를 당했던 경험이 아니라 반대로 누군가를 무시했던 경험들에 대해 분석했을 때 기분이 좋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든가 상대방을 내 손 안에 쥐고 있는 기분이 들었다는 보고들이 다수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사는 쪽을 택할까? 여성 입장에서는 어느 시점이 넘으면 직접 번식을 포기하고 오래 사는
편이
유리해진다. 자식의 자식, 즉 손주를 돌보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가설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왜 남자도 오래 사느냐?’는 질문에 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성이 남자보다 상당히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쪽을 택할까? 여성 입장에서는 어느 시점이 넘으면 직접 번식을 포기하고 오래 사는
편이
유리해진다. 자식의 자식, 즉 손주를 돌보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가설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왜 남자도 오래 사느냐?’는 질문에 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성이 남자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및 생리 특성과 마찬가지로 유전적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모가 잠을 덜 자는
편이
라면 자녀도 그럴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오늘날처럼 할 일도 많고 놀 것도 많은 세상에서 이런 유전형인 부모를 만나는 것도 행운 아닐까. 적정 수면시간이 꽤 짧은 구성원이 포함된 가계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멀어지는 천체에서 오는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멀어지는 속도가 빠를수록 적색
편이
도 커진다. 허블과 휴메이슨이 얻은 46개 데이터 가운데 세페이드 변광성은 7개뿐이었다. 허블은 나머지 은하의 가장 밝은 별이나 성운의 데이터는 절대광도가 같다고 가정하고 겉보기등급으로 거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논문이 실리는 것도 흔치 않지만, 해설이 실리는 건 드문 일이다. 전자가 한 달에 한
편이
라면 후자는 일 년에 한 편 정도일까. 논문이야 과학자가 학술지에 투고하는 것이지만 해설은 학술지가 논문의 분야를 꿰고 있는 과학자에게 청탁하는 것이므로 영국(‘네이처’)과 미국(‘사이언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갖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기 쉬운 손가락 비율이 지표로 쓰인 논문이 1400여
편이
라는 건 상관관계가 큰 특성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일 텐데 어떤 필연성을 떠올릴 수 없는 필자로서는 영 믿음이 가지 않는다. 이런 논문이 나오면 대중적으로 꽤 인기가 있어 언론매체에서 즐겨 소개함에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
2019.06.08
나타난다고 한다. 또 과거의 즐거웠던 일을 떠올려도 지금의 기분이 나아지지 않는
편이
라고 한다. 이렇게 괴로운 일이 많은 것 뿐 아니라 ‘즐거운 일이 없어진다는 것’이 우울증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의견이다. 나쁜 일을 없애는 것도 중요하지만 즐거운 일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