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스페셜
"
지난
"(으)로 총 5,29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받을 가치가 없다'는 기존의 생각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지난
10년 간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밝혀진 연구에 의하면 돼지는 공감의 신호를 보낼 줄 알며 염소는 개와 비견될 수준의 사회적 지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또 젖소는 배변 훈련을 받을 수 있을 정도의 인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요소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의 은밀한 요소 수출 제한 가능성을 처음 보도한 것은
지난
9월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종식으로 경기가 살아나면서 중국 내수 시장에서 요소 비료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이 문제였다. 이미 베트남에서는 요소 비료의 가격이 7월보다 최대 30%나 급등했다는 소식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1만 점의 관점에서는 모르는 게 9999에서 9900으로 약간 줄어든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 과학자들은 108만 염기 크기인 게놈을 합성해, 게놈을 뺀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살리는 데 성공했다. 박테리아가 증식한 콜로니(군집)의 모습이다(오른쪽은 현미경 이미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쿵쿵 ' 심장박동 일으키는 근단백질 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25
주요한 역할을 하는 미오신이지만, 미오신 단백질로 이뤄진 미오신필라멘트의 구조는
지난
60년 간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크레이그 교수 연구팀은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사용해 미오신 단백질이 필라멘트를 이루는 '티틴(titin)'과 '미오신 결합 단백질(cMyBP-C)'이라는 2가지 단백질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 과도한 ‘국제화’를 경계해야 현대의 과학기술은 시작부터 ‘남의 것’이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는 남의 과학기술을 흉내 내서 우리 과학기술로 ‘체화’하기 위해 부단하게 노력해왔다. 1인당 국민소득이 60달러에도 미치지 못했던 1958년에 1인당 6000달러 이상의 비용을 들여서 273명의 ... ...
[과기원NOW] KAIST, 미생물 세포 공장 구축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첨단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비) 설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지난
달 12일 국제학술대회 '유비콤프(ACM) 2023'에서 발표됐다. ■ 포스텍은 감종훈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댐 운영 패턴을 분석하고 실효성을 검증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현장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아직도 ‘추격형’과 ‘선진‧창조형’ 과학기술이 철
지난
‘이념’이 충돌하고 있고 ‘기초‧원친‧응용’의 탁상공론에 포획되어 있다. 30년이 넘도록 출연연을 옥죄고 있는 어설픈 PBS(성과주의에산제도)의 개혁에는 손도 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과학기술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1곳을 추가 선정할 예정이다.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정병선 원장이
지난
3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기술경영경제학회 창립 31주년 기념포럼에서 제2회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대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대한민국 과학기술혁신대상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 심혈관계에도 악영향 Y염색체 소실은 암뿐 아니라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난
해 ‘사이언스’에는 Y염색체가 소실된 백혈구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인 심장섬유화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다른 장기의 세포에서 Y염색체 소실이 일어나면 그 영향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어느새 변이를 일으켜 사람이 면역력을 가질 수 없는 형태로 바뀌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
40년간 의학자들과 HIV는 백신 개발과 백신을 무용화하기 위한 변이 형성을 위해 계속 전투를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HIV가 계속 승자가 되고 있는 중이다. 기대한 백신이 개발되지 못해 사람이 HIV에 감염되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