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등
광원
점화
빛
스페셜
"
조명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란만 남은 태양광 시설 산사태, 2년전 이미 위험평가 제안됐지만 '무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주목을 받았던 올해와 달리 2018년은 태양광 설비가 설치된 지역에서 일어난 산사태가
조명
을 받지 않아 긴급현안으로 선정되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당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탓에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기준과 위험도 평가에 과학적 기준이 마련되지 않으면서 향후 점검에서도 제대로 ... ...
로봇 활용 '디지털 제작'으로 예술과 제조업의 '경계' 허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3
토크쇼를 14일 오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토크쇼는 제조업의 새로운 흐름을
조명
하는 글로벌 포럼 ‘로컬-리콜’가 기획한 온라인 토크쇼 시리즈인 ‘신제조업의 영민한 루키들’의 세 번째 프로그램이다. 서울의 대표적 도심제조업 현장인 청계천과 을지로 일대 현장에 신제조업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신경을 써야 한다. 해가 진 시간대에 쓰면 생체리듬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인공
조명
이나 디스플레이의 파란빛을 차단해주므로) 해가 뜬 시간대에 쓴다면 오히려 생체리듬을 교란할 것이다.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안 그래도 낮에 파란빛이 부족한데 블루라이트 차단 ... ...
[표지로 읽는 과학]원폭투하 75년 생존한 피폭자들이 남긴 의학적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7.26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아번주 표지에 일본 히로시마의 모토야스강에 띄운 유등이 등장한다. 배경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히로시마 평화기념관이 흐릿하게 보인다. 흔히 원폭돔이라고 불리는 건물이다. 1915년 건설돼 히로시마상업전시관으로 쓰였지만 1945년 8월 6일, 미국 원 ... ...
탄소배출 가장 적게 하는 국제 학술행사 개최지를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일(현지시간) 특별기고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동 제한으로 ‘탈탄소화’를 집중
조명
했다. 마일스 앨런 영국 옥스퍼드대 지구시스템과학 교수와 데비 홉킨스 인문지리학 부교수, 제임스 히엄 뉴질랜드 오타고대 지속가능관광 교수가 함께 작성한 기고문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발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그 뒤 성립된 중국의 전제 왕조에는 위협이 됐기 때문에 오랜 세월 억압을 받았고 최근 재
조명
되고 있다. 이 책은 중국의 유명 작가 천웨이런이 쓴 묵자 전기로, 사상가로서뿐 아니라 과학기술자로서의 묵자 면모도 잘 보여주고 있다. 공자가 소크라테스(또는 플라톤)라면 묵자는 ... ...
우주에서 확인된 코로나19로 확 달라진 지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NASA)과 미국해양대기청(NOAA)의 차세대 관측위성(GOES)은 올해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야간
조명
영상을 촬영하던 중 올해 1월과 4월 사이 다른 도심지와 달리 유독 빛의 양이 달라진 지점을 발견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병원이 3월 이후 밝게 빛나기 시작하면서 4월에는 주변에서 가장 밝은 ... ...
[인간·공감·AI]④ 눈에 안 띄는 교통 표지판 AI로 퇴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맑은 날과 눈이나 비가 오는 날 보이는 모습이 다르고, 밤에
조명
이 어디 있느냐에 따라 가독성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주변에 건물이 있거나 가로수가 있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 멈춰 서 있을 땐 잘 보여도 운전 중에는 정작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김 교수는 이런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양산 체제가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인 소재 또는 재료가 개발돼야 한다. 오늘날 LED
조명
시대가 열린 건 1991년 일본 니치아화학공업의 나카무라 슈지가 질화갈륨으로 고휘도 청색LED를 만들어 이듬해 제품화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스마트폰과 전기차 시대가 열린 건 1985년 일본 아사히카세이의 ... ...
[게놈과 인류사]16세기 멕시코로 건너간 아프리카인의 고단했던 삶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분석해 오래 잊혀져 온 비극적인 역사를 되살리기도 한다. 이런 연구는 한 개인의 삶을 재
조명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을 통해 거대한 역사적 사건의 한 단면을 생생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요하네스 크라우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 고고유전학센터장팀은 아프리카에서 멕시코로 강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