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격
스페셜
"
일타
"(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휴대폰으로 심근경색 진단을 테스트하는 정봉현 “신약개발 같은 장기사업도 물론 중요하죠. 하지만 너도 나도 그것만 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생명공학기술을 조금만 응용하면 다양한 시장개척이 가능합니다.” 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은 바이오융복합기술 연구에 관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앞으로 농림수산식품 분야 연구가 우리 삶을 바꿔놓을지 모릅니다. 먹고사는 문제뿐만 아니라 에너지, 의약품, 화학소재 등과 연결해 사람들이 잘 살 수 있도록 연구기획하고 지원하는 게 우리 기관의 역할입니다. 산업소재나 의약품 소재를 만들기 위한 품종을 개발해 작물을 재배하고, 질병치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과학을 선택한 인생이 행복해” 김은경 연세대 화공생명학과 교수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고 그래서 과학자가 되었죠. 오르내림도 있었지만 과학을 한 덕분에 평생 즐겁게 살았어요. 지금도 과학 하는 사람들과 만나면 ‘우린 참 행복하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연구 결과로 이어진다’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이상민 의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민주주의란 서로 ‘합의’하는 것입니다. 토론하고 논의해 합당하면서도 통일된 의견을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올바른 생명공학 정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부와 국회는 물론, 과학기술자들도 서로 ‘이야기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한용만 KAIST 교수는 “줄기세포연구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인력양성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미국은 줄기세포연구에 매년 2억 달러(약 2450억원)의 연구비를 쏟아 붓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총 연구비는 400억원 밖에 안 된다. 적극적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이세경 UST 총장“미래는 융합이 대세입니다. 특히 생명공학 분야가 그렇습니다. 신약개발 등 연구할 것은 많지만, 막상 제품화 되면 기계, 화학 전공자들의 할일이 더 많아집니다. 결국 융복합에 강한 인재가 바이오산업에 강할 수밖에 없지요.” 이세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총장은 생명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연구는 사람이 합니다. 함께 연구할 동료들을 아끼고 사랑해야 성과가 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 과학계는 인력이 부족해요. 이런 부분을 정부에서도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사람의 질병 유전자 연구와 초파리 연구라면 국내에서 둘째가라면 서럽다는 정종경 KAIST 교수. 정 교수는 2006년 초파리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09.07.2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현병환 센터장. 전승민 동아사이언스기자enhanced@donga.com “기술을 판매할 수 있는 전문 전담조직만 있다면 한국 생명과학계의 기술료 수익은 몇 배로 커질 겁니다.” 투자유치를 바라는 벤처기업 사장의 말이 아니다. 공공연구기관의 생명공학(BT)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책서 ... ...
타미플루 개발자 “한국 신약사업, 아이디어로 승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3
“전 세계에서 30여 가지 C형간염 치료제가 개발 중입니다. 어지간한 대형 제약회사는 모두 덤벼들었다는 말이지요. 아직 뛰어난 치료제가 세상에 없기 때문인데, 성공만 하면 많은 이익이 보장될 겁니다. 하지만 한국 제약회사들이나 연구기관에서는 C형간염 치료제 시장에 뛰어들 엄두도 못 내는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09.04.23
의사와 과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부터 ‘의사(MD)-이공계 박사(Ph.D) 협력연구 프로그램’에 약 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공계 생명과학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해 보고 싶어 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인체 조직 같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