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스페셜
"
약물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재훈 교수 "코로나19 풍토화되는 사이 다음 새 변이 대유행 대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3.25
한국 인구집단 중 40% 이상이 감염으로 면역을 획득했고 나머지 인구는 당분간 백신과 비
약물
적 중재로 보호될 것"이라며 "하지만 장기적으로 이런 보호는 유효하지 않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유행이 길어지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는 예전보다 떨어졌고, 마스크 착용이나 진단검사, 격리 같은 방역 ... ...
“아스피린, 코로나 입원환자 사망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5
분석을 지난해 6월 공개했다. 그러나 아스피린을 복용한 환자의 28일 후의 생존률이
약물
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1% 정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
긴급승인된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는 어떤 약…26일부터 현장 보급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때문에 다른 약제와 상호간섭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반해 라게브리오는 병용 금기
약물
이 적어 처방하기는 더 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라게브리오와 함께 먹을 수 없는 약은 클라드리빈 성분의 백혈병 치료제 뿐이다. 일각에서는 라게브리오가 코로나19 감염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 ...
질병청 "팍스로비드 2주뒤 소진 가능성, 라게브리오 조속 도입"
연합뉴스
l
2022.03.22
라게브리오 처방에 대해서는 "두 약의 수급 상황과 확진자의 기저질환, 투여 중인
약물
등을 고려해 의사가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 투약 시기가 (증상발현) 5일 이내이기 때문에 고위험군은 조기에 진단·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과기원은 지금] 김재경 KAIST 교수팀 세포 이질성 원인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기능 향상이 가능한 새로운 전자약 기반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의
약물
치료법이 아닌 전기 자극으로 탈수초화 신경병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줘 추후 전자약 형태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패브리케이션’에 지난 1월 공개됐다 ... ...
[과기원은지금]DGIST, 한천 이용해 친환경 해수담수화 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따라 다른
약물
을 함께 복용했을 시 나타나는 부작용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했으며, 신규
약물
에 대한 안정성 검증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화학정보학회지’ 지난 4일자에 게재됐다.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볼 밀링 공정을 ... ...
첫 임상3상 돌입한 면역조절제 방식 국산 코로나 치료제 새 기대주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임상2b상에서는 투여용량을 결정한다. 임상3상은 대규모 환자와 대조군 투여를 통해
약물
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샤페론 측은 “누세핀은 전신성 염증 증후군인 패혈증 치료제로 개발해 온 정맥 주사제로 현재 코로나19 폐렴 환자들의 사이토카인 폭풍 등 조절되지 않는 염증 반응 치료를 목표로 ... ...
코로나19 감염되면 위험할 사람 따로 있다…중증 확률 높이는 유전자 변이 16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변이가 일어난 경우도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나타났다. 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인 오틸리맙은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험중이다. 지노믹스 잉글랜드의 전 수석 과학자인 마크 콜필드 영국 퀸메리대 교수는 “코로나19가 진화하면서 우리는 중증에 걸려 입원하는 이들의 피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2월 불면증 치료제 큐비빅이 FDA의 승인을 받았다. 오렉신의 각성 신호를 차단해 작용하는
약물
로는 세 번째다. 작동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약물
(주황색)이 후시냅스 말단 표면의 오렉신 수용체에 먼저 결합해 Hcrt뉴런의 전시냅스 말단에서 방출되는 오렉신이 붙을 자리가 없다. 에자이 제공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특허전쟁 다음 라운드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를 누르고 승리했다. 미국 특허청이 브로드연구소가
약물
개발에 필수적인 생물에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하는 기술을 UC버클리보다 먼저 개발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2020년 노벨 화학상까지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은 유전질환 치료제와 신종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