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스페셜
"
쌍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감염병 15분만에 정체 가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에 작용하는 새로운 압타머를 발굴했다. 이 압타머
쌍
을 이용해 색깔 변화만으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15분이 소요된다. 장승기 교수는 “새로 개발한 바이로-셀렉스 방법을 ... ...
[인간·공감·AI]①신종 감염병의 시대, AI가 데이터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정보에서 질병과 관련한 단서를 찾는 데 AI를 활용하고 있다. 인간의 게놈에는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이 있고 2만 개 이상의 단백질 역시 긴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복잡한 입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DNA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에 관여하는 mRNA는 게놈 속 유전자 가운데 무엇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이 없어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반면 동형 염색체인 여성은 X염색체
쌍
가운데 하나가 변이 유전자이더라도 몸의 세포 절반만이 영향을 받을 뿐 나머지 절반에서는 다른 X염색체의 정상 유전자(안전망)가 작동해 부정적 영향이 없거나 완화된다. 물론 부모 양쪽에서 다 변이 ... ...
80종 넘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임상시험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약물은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쓰이는 '
쌍
황련'이다.
쌍
황련은 속썩은풀(황금)의 뿌리와 인동덩굴의 꽃, 의성개나리의 열매(연교)를 건조시켜 추출한 물질이다. 과거 중국에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유행할 때도 치료효과가 ... ...
"아프리카인도 네안데르탈인 DNA 다수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개의 DNA 염기서열이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온 것으로 확인됐다. 현생인류가 지닌 약 30억
쌍
의 염기서열 가운데 0.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추정한 아프리카인의 네안데르탈인 염기서열 수보다 17배 이상 많은 수다. 아프리카인이 지닌 네안데르탈인 염기서열의 94%는 유라시아의 ... ...
외계행성탐색 망원경이 찍은 인터스텔라 혜성 '보리소프' 모습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혜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리소프는 다른 태양계 내 천체와 달리
쌍
곡선을 그리며 태양계를 빠져나간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이번 관측 결과는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IAWN)이 주관하는 보리소프 혜성 국제 공동관측 캠페인에 공유된다. 관측 캠페인에는 허블우주망원경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유전자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또 하나 이상한 사실은
쌍
둥이 세
쌍
모두 후각망울이 없는 쪽의 후각 테스트 점수가 오히려 더 높다는 점이다(각각 110 대 86, 110 대 97, 111 대 98). 비유하자면 이 없이 잇몸으로 음식을 더 잘 씹어먹는 셈이다. 후각망울이 없음에도 냄새를 맡는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전에 "넓적부리도요가 멸종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결론 내렸다. 전 세계를 통틀어 200
쌍
정도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WWT 전문가들은 멸종 위기에 놓인 새들을 보호하기 위해 서식지를 찾아 위험한 요소가 없는지 살피고, 부화 확률이 낮은 종은 알을 구해 안전하게 부화시켰다. 넓적부리도요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법칙이다. 나아가 뉴턴은 구심력이 역제곱일 때 물체의 운동이 타원이나 포물선,
쌍
곡선 같은 원뿔곡선임을 증명한다. 또한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과 조화의 법칙도 유도해 낸다. 일화에 따르면 바로 이 내용이 《프린키피아》를 쓴 직접적인 이유였다. 핼리 혜성으로 유명 한 에드문드 핼리가 어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쭈그러졌고(흰 화살촉) 아폽토시스가 일어나는 세포는 염색질(chromatin)이 수축돼 있다(흰
쌍
화살촉). 괴사가 일어나는 세포는 세포질과 소기관이 부풀고 세포막이 터지고(검은 화살촉) 자식작용이 일어난 세포는 이중막 소체가 형성돼 있다(검은 화살표). '셀' 제공 그런데 해설을 읽다 보니 이게 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