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스페셜
"
설계
"(으)로 총 1,11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1차 발사 후 2개월 간 거쳤다. 1단과 2단의 산화제 탱크 고정 지지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
를 변경하고 문제가 없는지 검증했다. 4월에는 3단 산화제 탱크 내부의 해당 부부품을 교체하는 재작업을 마무리했다. 누리호 2차 발사 탑재체. 큐브위성이 실려있능 성능검증위성과 위성모사체로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 공부 되었다. 누리호 같은 경우는 1,2,3단 모든 시스템에 독자
설계
하고 시험 과정이 있기 때문에 문제 있으면 어떤 문제인기 해결할지 담당자들이 파악하고 있다. 1차 발사 때 문제도 그렇고 전기적인 문제도 원인 분석 과정에 있어 과거 경험 도움이 됐다. Q 발사 연기 ... ...
누리호 기립 완료 "날씨 변수 없다"…21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꺼지면서 목표 궤도인 700km에서 초속 7.5km의 속도로 모형위성을 투입하는데 실패했다.
설계
과정에서 실수로 3단 엔진의 산화제 탱크에 들어있는 헬륨 탱크의 고정 장치가 풀리면서 엔진이 예상보다 일찍 꺼졌다. 실패 원인 보완 이후 이달 15일 2차 발사가 진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기상 상황으로 ... ...
누리호 보완 마치고 발사대로 이송 후 기립 작업...21일 날씨 또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꺼지면서 목표 궤도인 700km에서 초속 7.5km의 속도로 모형위성을 투입하는데 실패했다.
설계
과정에서 실수로 3단 엔진의 산화제 탱크에 들어있는 헬륨 탱크의 고정 장치가 풀리면서 엔진이 예상보다 일찍 꺼졌다. 실패 원인 보완 이후 이달 15일 2차 발사가 진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기상 상황으로 ...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AI칩은 영상과 음성 인식처럼 한 분야를 심층 학습해 인간보다 나은 능력을 발휘하도록
설계
된 장치다. 이런 이유로 한번 학습한 AI칩을 다른 분야에 활용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학습시키거나 아예 새 뇌를 이식하듯 기존에 학습한 부분을 교체해야 한다. 지금도 학습한 영역을 교체하는 기술은 ... ...
[일문일답] 누리호 2차 발사 잠정 연기 "기체 열어봐야 향후 일정 알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현재 기립했던 누리호를 눕혀 조립동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16일 발사는 불가하다. 다만
설계
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 하드웨어의 문제라 3차나 4차 후속 발사 일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Q 오랜 시간 점검에 들어가면 탑재체들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빨리 조치하면 문제는 없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수수께끼 풀리나
2022.06.14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화학반응을 통해 아미노산을 주고받을 수 있는 작은 RNA 분자 둘을
설계
했다. 아미노산 주개(donor)와 받개(acceptor)로, 역할의 관점에서 각각 운반RNA와 리보솜RNA에 해당한다. 놀랍게도 두 분자 사이에 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며 받개의 아미노산이 여러 개 길이로 이어졌다. ... ...
안개와 이슬에서 전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안개나 이슬처럼 주변에서 쉽게 보이는 환경에 맞게
설계
하면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센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1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에 실렸다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많은 도움을 줬지만 아쉬움도 있다고 했다. 특정 발사 시점에 맞춰 진행하도록
설계
된 대회인 만큼 제품 개발에 쫓겨 우주에서 검증할 핵심 기술을 들여다보는 시간은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방 교수는 “큐브위성은 아무 때나 발사체의 남는 공간에 실어 발사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핵막공복합체와 관련한 특집을 마련했다. 핵막공복합체의 정교한 분자 구조가 어떻게
설계
되고 형성되는지에 대해 조사한 연구들을 모았다. 예시로 쉬야말 모살라간티 미국 미시건대 생물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를 극저온 전자 단층 촬영 기법으로 촬영했다. 이 기법은 정밀한 단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