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스페셜
"
사진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책입안 현장에 BT 전문가가 없다. 현실을 반영한 정책이 나올리 만무하다. 사람이 없는 것이 아니다. 통일된 목소리가 없다.” 9일 포스텍에서 진행된 ‘제7 ... 이후 촬영된 기념
사진
. 이날 행사에는 BT 관계자 60여명이 참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
제공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노벨상’으로 불리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의 1회 수상자인 유명희(55
사진
)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1세기 프런티어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그는 “최근 생명과학 분야에서 ‘창의성’ ‘창의적 인재’ ‘융합’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을 처음 맡아 중국과 일본을 바쁘게 오가던 서유헌(61
사진
) 서울대 의대 교수의 발걸음도 유난히 무거워졌다. ● “새 술은 새 부대에…새로운 뇌 연구 위해 새로운 연구소 모델 필요” “뇌 연구는 미래의 가장 큰 블루오션, 아직 열리지 않은 시장이에요. 단순한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복지부는 최근 보건·환경 분야의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국가 연구개발(R&D)에서 보건 의료 분야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05년 8.3%에 머물던 이들 분야에 대한 ... ▲포럼 종료 후 기념
사진
촬영이 이뤄졌다. 7차 포럼은 4월 중 진행 될 예정이다.
사진
제공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묻는 질문에 대뜸 이탈리아 로마 외곽에 있는 ‘주빌리 교회’
사진
을 내밀었다. “주빌리 교회는 2003년에 완공돼 10년 된 건물이지만 여전히 외벽이 새것처럼 하얗습니다. 벽에 자기정화 기능이 있는 광촉매 나노물질를 발랐기 때문입니다.” 광촉매는 냄새와 세균을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바로 전문 인력 양성입니다.” 이상기 순천향대 의료생명공학과·의약공학과 교수(62·
사진
)는 오랜 연구소 생활과 바이오기업 창업 경험을 들며 인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을 역임한 그는 2009년에 순천향대 교수로 자리를 옮겨, 순천향대 산학협력 선도대학(SCH LINC)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실험실을 상정한 이미지
사진
. 국내 과학수사 기법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관련 기술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법과학’ 분야는 선진국에 비해 미진하다는 지적이 많다. 과학동아 제공. 3월 27일 서울 강남구 팔레스호텔에서는 ‘과학수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토론회가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맡게 될 겁니다.” 지난해 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새 선장으로 취임한 오태광 원장(59·
사진
)은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은 바이오정책을 재정비하고 바이오 분야를 타 분야와 융·복합하며 전문화, 대형화를 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변화가 필요하고, 그 중심에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7번째로 한국을 찾은 199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에르빈 네어 독일 괴팅겐대 교수(68·
사진
)는 서울대 의대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산하 한국뇌연구원 자문위원을 맡아 활동하고 있을 만큼 ‘친한(親韓)’파다. 그만큼 국내 실정도 꿰뚫어보고 있다는 것. 지난 달 한국뇌연구원 행사 참석차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이렇게 거둔 연구 성과가 빠른 시일 내에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거죠.” 박성회(65·
사진
) 서울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이 과학자와 힘을 합칠 때 좋은 성과를 빠르게 가져온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당뇨병 치료 연구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박 교수는 지난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