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작
감염
영향
전염
뇌일혈
스페셜
"
발병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초기 면역 관여하는 자연살해 세포 기능 감소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0
KAIST 제공 비정상 자연살해 세포의 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에서
발병
초기부터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환자의 선천면역 반응을 약화시키며 병을 일으키는 것이다. 경증 환자는 자연살해 세포가 이내 돌아온 반면 중증 환자는 이러한 비정상 자연살해 세포 증가 ... ...
[표지로 읽는 과학]당뇨 환자 삶 바꾼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분석을 통해 제1형 당뇨병을 앓을 수 있는 사람을 식별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질병
발병
을 지연시킬 수 있다. 사이언스는 “언젠가 완전히 예방이 가능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또 제1형 당뇨병 증상은 환자 유래 세포기반 치료제와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어느 정도 억제가 가능하다. 다만 이도 ... ...
[표지로 읽는 과학]'투 스트라이크' 두 종의 치료제로 간암을 잡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1
암으로 나타났다. 55개국에서는 암이 2위를 차지했다. 국제암연구기관(IARC)의 2020년 암
발병
률 및 사망률 집계(GLOBOCAN 2020)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1930만 명이 새로 암에 걸렸다. 1000만명가량은 암으로 사망했고, 이 중 폐암이 180만 명(18%)으로 가장 많았다. 간암(8.3%)은 직장암(9.4%)에 이어 암 사망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콧속 섬모세포에서 복제·증식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2021.07.28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 코로나19 초기 감염 기전 규명이 어려웠던 이유
발병
후 1년 6개월 이상이 지난 지금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인체 감염 메커니즘은 불명확하다.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호흡기의 상부인 비강, 인두, 후두, 기관지 등 상기도 조직을 통해 ... ...
[의학게시판]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기반시설 수수료 감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인식모델로 개발됐다. ■한림대 춘천성심병원은 27일 분변검사로 만성간질환 진단과
발병
여부를 예측해주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접목시켜 알콜성간질환을 특정하고, 이를 AI 알고리즘에 적용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회춘하면 코로나19도 가볍게 앓을까
2021.07.27
지금은 1.09%까지 떨어졌다. 지난 2주 동안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은 0.16%에 불과하다.
발병
에서 사망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이 꽤 될 것이므로 같은 기간 확진자와 사망자로 계산하면 안 되지만(최근 확진자 폭증으로 실제 치명률보다 낮게 나온다), 이를 감안해도 크게 떨어진 건 분명하다. 최근 ... ...
노인 우울증,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이어지는 연결고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간 연결고리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심한 우울증을 겪는 노인의 경우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위험도가 높다. 이 같은 연결성은 여러 연구들에서 입증이 됐지만 그 원인은 비밀에 싸여 있었다.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뇌건강센터 외래를 방문한 60세 이상 노인 235명을 대상으로 뇌 신경세포의 ... ...
16세 미만 청소년 코로나19 백신 맞아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6세 미만 청소년 대상 백신 접종 연기를 권고했다. 이 연령층에서는 심각한 코로나19 중증
발병
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라는 게 주요 근거다. 그러나 이스라엘 등은 16세 미만 청소년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으며 백신 수급이 원활할 경우 청소년 백신 접종을 하려는 국가들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
희귀 신경질환 부작용 발목 잡힌 얀센 백신…미 보건당국 백신 불신 불똥 튈라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연구에서는 독감 백신보다 독감으로 길랭바레증후군이
발병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분석도 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 내 백신 접종이 정체된 가운데 얀센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서 이와 다른 전령리보핵산(mRNA) 방식의 화이자와 ... ...
효능 논란 끊이지 않는 렘데시비르…노르웨이팀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못 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투여를 권고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그간 렘데시비르는 임상시험에서 코로나19
발병
초기 환자의 치료 기간을 약 30%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연구 설계나 투여 시기, 환자 중증도에 따라 임상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 임상적 유효성에 대한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해 1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