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스페셜
"
반응
"(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확인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나비넥타이 입자가 카이랄성 값에 따라 편광과 다르게
반응
하는 것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카이랄성 화합물은 지속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다 편광 현상을 활용하면 향후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분야는 물론 다양한 색채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 소재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깊이 별로 발생하는
반응
의 불균일성을 분석했다. 위치에 따른 색의 분포를 비교해
반응
의 불균일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기존에 없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9일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생쥐가 불안 행동을 보인다(왼쪽). 한편 뇌섬엽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iC++)은 파란빛에
반응
해 통로가 열리며 빈맥으로 유발된 불안을 차단한다(오른쪽). 네이쳐 제공 ● 뇌섬엽이 허브 그렇다면 심박수 증가 정보가 뇌의 어디로 전달돼 불안이라는 감정을 일으켰을까. 빨간빛으로 심박수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팀,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조절 T 세포는 우리 몸에는 면역
반응
의 과도한 유도를 조절하고 자가면역질환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종양 내에 존재해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저해하는 조절 T세포만을 골라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수상자로 선정된 테이텀의 수상업적은 레더버그와 다르게 “유전자가 특정한 화학
반응
을 조절함으로써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었다. 그런데 세균은 어떤 방법으로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것일까. 레더버그는 자신의 발견이 항생제 내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지만 두 세균이 붙었다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찾는 브랜드가 있고 메뉴가 존재한다. 이것이 단순히 고칼로리 영양 성분에 의한 신체
반응
으로 모두 설명이 가능할까.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연구 분야 중 하나가 '장-뇌축(gut-brain axis) 연결'이다. 영양분을 흡수하는 장과 이를 소모하는 뇌는 혈액이나 신경계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장에서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소개돼 화제를 끌었다. 이 나무는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광호흡
반응
을 개선하는 전략으로 기존 포플러보다 바이오매스(생장량)가 53%가 증가했고 탄소 포집은 27% 향상되었다고 알려졌다. 이보다 앞서 브라질에서는 2015년에 생장속도를 늘린 유전자변형 유칼립투스의 상업적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반응
이 빨랐고, 재료를 적당히 넣으면 여러 개가 연결될 정도로 효율도 높았다. 따라서
반응
시간을 한 시간 이내로 짧게 한 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넣어 준 재료가 서로 붙었다고 가능하고 확인작업을 시작하면 다음 날 아침에 재조합 DNA가 대장균으로 들어가서 형질을 전환시키며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국제적 수소 공급망 최적화 방법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이리듐 산화물보다 높은 활성과 기존 니켈-철 산화물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 산소발생
반응
용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이 촉매는 안정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만큼 친환경 수소생산을 앞당겨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통용된 백금이나 이리듐 등 귀금속 촉매는 가격이 비싸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 포스텍은 이준구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파마코포어 단백질 번역과정의 생화학적
반응
을 통해 세포 밖에서 합성하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해 10월 22일 게재됐다. 파마코포어 단백질은 소형 화합합성 의약품이 약효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