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언어
발언
표현
단어
언사
소리
language
스페셜
"
말
"(으)로 총 3,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증가되었으므로 생활습관을 과거형태로 바꾸면 해결이 가능하겠지만 자동차를 타지
말
고 걷거나 뛰어다니고 사무실에서 책상과 의자를 치워버리고 서서 일하는 건 현대인에게 너무나도 힘든 고통이 될 것이다. 비만 해결을 위해 약을 사용하는 게 가능할까. 살빼기 위한 약의 원리로 식욕을 느끼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같이 있어 보이는 표현을 잔뜩 넣었지만 실은 아무
말
이나 늘어 놓았을 뿐인
말
들에 더 쉽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니까 소위 헛소리를 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헛소리에 더 많이 빠져들고 잘못된 믿음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심리학의 발견들이 가져다 주는 가장 큰 지혜 중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윗 사람들의 경우 조직의 평화, 다른
말
로 자기 일신의 평화를 위해 도덕성을 져버리는 행위를 하기 쉬운 상황에 놓인다. 일례로 2017년 미국에서 정부 기관(NASA, 국방부, 법무부, 환경부 등)에서 일하는 약 1만1000명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1년 간 자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논문 같은 자료는 어려운 내용이라 그렇다고 쳐도 아침이면 신문을 뒤적이고 있으니 할
말
이 없다. ● 종이 소비량 오히려 늘어 사정이 이렇다 보니 새천년이 시작된 2000년의 미래 예측이 크게 빗나가고 있다. 당시만 해도 IT가 생활에 스며들면 머지않아 종이로 된 서류와 책, 신문이 사라지고 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리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예도 존재한다. 18세기
말
에 부인과 함께 직접 실험을 통해 화학발전에 공헌한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 1743~1794)는 화학반응 전후에 질량의 합이 같다는 ‘질량보존의 법칙’을 주장했다. 그의 법칙은 200년 이상 불변의 진리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들어있는 오염수가 아니라 바다에 흘려보내게 될 방류수의 수질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
아야 한다. 방류수가 ‘먹는 물 수질기준’을 충족한다는 주장에 ‘너나 마셔라’라고 외치거나, 안전하면 수돗물로 쓰거나 맥주를 만들어 마시라고 몰아붙이는 것도 볼썽사나운 가짜 과학이다. 기술적으로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
2023.07.15
고통이 될 필요는 없음을 알게 되었다. 내가 느끼는 통증이 곧 나인 것은 아니라는
말
처럼 감각까지 통제하지는 못하더라도 감각에 대한 나의 반응은 내게도 어느 정도 선택권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괴로움이 현실과 별개로 내가 내리는 평가와 판단들에 의해 생긴다는 사실과 내가 겪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상황 대부분은 ‘세상에 공짜는 없다’ 또는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 법’이라는
말
이 더 와닿는 선택의 연속이다. 칼로리 제로인 인공감미료로 단맛은 여전히 즐기면서도 살을 빼고 당뇨도 예방한다는 언뜻 과학적인 설명처럼 보이는 시나리오는 인체에 대한 깊은 통찰이 빠진 달콤한 꿈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개발은 일단 병이 발생한 후에도 치료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길을 터 놓았다. 19세기
말
까지만 해도 해결가능한 감염병이 별로 없었는데 20세기의 의학발전은 거의 모든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게 해 준 것이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이 되면서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다. 역사적으로 경험하지 못한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질문을 던진 그 심사위원은 우리처럼 모델생물을 가지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항상 잊지
말
아야할 교훈을 우회적으로 전달한 것 아닌가 싶다. 그 심사위원의 질문은 연구실 책임자가 되어 연구원들과 학생들을 지도하는 입장이 된 지금에도 가끔 스스로에게 묻고 대답을 되뇌이게 할 정도로 아직 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