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평
평론
리뷰우
비평
기사
잡지
서평
스페셜
"
리뷰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일반 상대성 이론의 직접적인 결과임을 증명했습니다. 1965년 1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중력수축과 시공간의 특이점들(Gravitational collapse and space-time singularities)’이라는 제목으로 실린 그의 핵심 논문을 자세히 해설해드립니다. 블랙홀의 존재에 대한 1960년대 물리학자들의 ... ...
[표지로 읽는 과학]코로나에 맞서는 백신 설계 전략의 ‘현재’
동아사이언스
l
2020.10.24
억제하기 위한 백신 후보의 설계 전략과 임상시험 결과를 망라하는 여러 논문과
리뷰
논문들이 실렸다. 지금까지 이뤄진 백신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이 몇 년 뒤가 아닌 몇 달 뒤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1일자(현지시간) 네이처는 우선 ‘에디토리얼’을 통해 ... ...
WHO, 위키피디아와 손잡고 코로나19 거짓 정보와 전쟁 선포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COVID-19’의 경우 200명 이상의 자원자가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 중 1명이
리뷰
할 때까지 게시물 정보를 변경할 수 없도록 돼 있다. 200여명의 자원자 상당수는 의사나 학자들이다 ... ...
미FDA, 렘데시비르 첫 코로나19 치료제로 정식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org)에 공개됐다. 아직 동료평가(피어
리뷰
) 거치지 않았으며 학술지 게재도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다. 지난 16일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렘데시비르 부작용 보고 현황'에 따르면 9월 말 ... ...
코로나19 감염력 무증상·경증 10일 중증 20일 간다…전세계 논문 77편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결과를 국제학술지 감염통제 및 병원역학 2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동료평가(피어
리뷰
)를 거친 논문 59건을 포함해 코로나19 관련 77건의 전 세계 연구를 분석해 그 결과를 종합했다. 연구팀의 분석 대상이 된 논문들은 모두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배출 정도를 평가했다. PCR은 ... ...
WHO "렘데시비르 코로나19에 효과 없다"...국내선 부작용 11건(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org) 15일자에 공개했다고 전했다. 아직 동료평가(피어
리뷰
) 거치지 않았으며 학술지 게재도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연대 실험은 지난 3월 WHO가 시작한 대규모 임상실험 프로젝트다. 코로나19 치료에 유망할 것으로 보이는 치료제를 꼽아 전 세계가 함께 임상실험 관련 ... ...
WHO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사망률·입원 기간 못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org) 15일자에 공개했다고 전했다. 아직 동료평가(피어
리뷰
) 거치지 않았으며 학술지 게재도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연대 실험은 지난 3월 WHO가 시작한 대규모 임상실험 프로젝트다. 코로나19 치료에 유망할 것으로 보이는 치료제를 꼽아 전 세계가 함께 임상실험 관련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생산을 억제하는 약물, 면역 물질 생산과 전파를 막는 약물 등으로 나뉜다. 네이처
리뷰
미생물학 논문 캡쳐 ●바이러스의 허점을 노리는 치료제와 백신 후보물질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주요 침투 및 증식 방법을 억제하는 전략으로 개발되고 있다(위 그림). 바이러스 게놈이 복제되는 과정을 막기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펜로즈는 이 내용을 1965년 ‘중력 붕괴와 시공간 특이점’이라는 논문을 피지컬
리뷰
레터스 1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아인슈타인 이후 일반상대성이론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만물을 움켜쥔 중력 일반상대성 이론이 블랙홀의 존재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퇴행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조절하는 방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게 저자들의 지적이다. 마지막
리뷰
논문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환경적, 유전적 위험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평가한다. 저자들은 유전 변이가 퇴행성 뇌질환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퇴행성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