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스페셜
"
남쪽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긴 장마 끝나고 폭염?..."2018년만큼은 아닐 것"
과학동아
l
2020.08.22
찾아오고, 반대로 고위도 지방의 차가운 공기를 가져오면 추위가 시작된다. 제트는
남쪽
과 북쪽 대기의 온도차가 클수록 강하며, 비교적 곧게 흐른다. 반대로 온도차가 작으면 제트는 마치 뱀이 기어가듯 구불구불하게 흘러간다. 이를 사행(蛇行)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중위도 지역 제트의 사행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원래 태양의 약 3000만 배의 물질을 평소에도 내뿜고 있는데, 어두워진 석 달 동안에
남쪽
지역에서만 평소의 2배 이상의 물질이 방출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텔게우스는 올해 4월 원래의 밝기를 회복했다. 연구팀은 2월 관측 이후 베텔게우스 대기에서 물질 분출 현상이 관측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장마 이달 14일까지 간다' 북극서 밀려온 찬 공기로 역대 최장 장마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위치하면서 중국 장강 일대와 일본 규슈에서 두 달이 넘는 기간 폭우가 내렸다. 일본
남쪽
부터 중국 중남부까지 이어진 북태평양고기압이 인도양과 열대 서태평양에서 정체전선에 수증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본과 중국의 폭우로 이어졌고 한반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그보다는 크지 않지만 씨앗이 먹을 게 많은 에구시멜론이 나왔다. 흥미롭게도 이집트
남쪽
에 위치한 수단에 속이 하얀 야생 달콤한 수박이 자생하고 있고 논문에서도 두 계열의 게놈을 해독했다. 따라서 늦어도 4000년 전 수단이나 이집트 지역에서 이들 야생 수박을 대상으로 작물화가 시도됐을 ... ...
[게놈과 인류사]3500년 전 우물서 생을 마감한 그녀에게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북쪽 지역과 지금의 터키 지역인 아나톨리아, 그리고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인 코카서스
남쪽
지역의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 인류의 이동과 섞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뤄진 연구였다. 이 일대는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그리스 등 인류 초기 문명이 일궈진 곳 한 가운데에 놓여 있다. 정 교수는 “유럽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네 편 이상 쏟아져 나왔다. 1일 정 교수팀은 중국 동북부 요하 서쪽 유역을 중심으로 이
남쪽
지역인 중원(황하 중하류) 지역과 북쪽(아무르강 유역)에 거주하던 7500~1700년 전 사람 55명의 유골 55구를 게놈 해독, 분석해 이 지역 인류의 독특한 변천 과정을 세밀히 밝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 ...
전세계 환자 600만명…100만명 늘어나는 속도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러시아는 모스크바가 가장 환자가 집중해서 발생하는 핫스폿이지만 최근 모스크바
남쪽
1600km인 다게스탄 지역에서 발생한 지역감염이 심상치 않다고 미네소타대 감염병연구정책센터(CIDRAP)이 평가했다. 인도는 하루에 2만9800명이 넘는 신규 환자가 발생하며 전체 환자가 18만1827명으로 ... ...
'지구를 생각하는' 독자들이 주목한 환경 뉴스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하는 작물이다. 그래야 열매가 잘 익어 상품성을 갖는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라
남쪽
지방의 평균 온도가 높아지며 사과 재배지가 계속 북상하고 있다. 재배지가 계속 북상해 21세기말에는 한국에서 사과를 재배할 곳이 강원 일부 지역 밖에 남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국내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위도 60도 극전선에서 사는 생선을 주로 먹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이들 생선 서식지가
남쪽
으로 옮겨갔다는 것이다. 부모가 먹이를 찾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리면 새끼가 포식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심할 경우 굶어죽기도 한다. 부모 펭귄 또한 오랜 수영으로 스트레스가 커진다. 위치 ... ...
[주말 고고학산책]2000년전 고대 한반도의 국제항
2020.03.21
해발고도 60m의 ‘작은섬산’이 있습니다. 두 산 사이의 평지가 넓지는 않지만, 섬
남쪽
의 넓은 암초 지대에서 다양한 식용 조개류가 자랍니다. 주변 다른 섬들에 비해 지하수도 풍부해서 사람이 살기에 어려움이 없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육지와 늑도 사이를 흐르는 빠른 조류로, 늑도 동쪽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