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골
등뼈
척수골
척추
척추골
등골뼈
골수
뉴스
"
척수
"(으)로 총 30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아 상태에서 자궁내 수술로 이분척추증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3개의 구멍을 내 카메라와 외과수술용 장비를 삽입했다. 이후 4시간의 수술로 노출된
척수
를 제자리에 놓고 바이오셀룰로오스 패치와 실리콘 패치를 꿰매 피부 재생을 촉진했다. 제비안은 2019년 처음 태아의 이분척추증 수술을 시도해 성공했다. 당시 그는 "자궁에 있는 상태로 수술을 하면 ... ...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장기유사체다. 선웅·조일주 고려대 의대 교수팀은 지난해 3월 신경관 형성을 모사하는
척수
오가노이드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의학공학’에 게재했다. 플라스틱 위에 세포를 배양해 인체 조직이나 장기를 모방한 ‘장기칩’ 연구도 활발하다. 동물을 대신해 생명 ... ...
혈액으로 알츠하이머 진단 길 열릴까…비싼 검사법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생성된 항체가 실제 타우단백질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뇌
척수
액에서 직접 뽑아낸 타우단백질과 항체를 비교했다. 600명 환자의 샘플을 비교한 결과 항체는 뇌에서 뽑아낸 타우단백질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수준의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검사 비용이 ... ...
치매 발병 시기, AI가 예측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기존 예측법은 양전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PET-CT)와 같은 고가의 기기를 사용하며 뇌
척수
액을 검사하는 침습적 시술이 필요해 환자 부담이 컸다. 하지만 치매가 발생하기 전후 뇌의 변화를 예측하는 AI기술은 환자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향후 치료제나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 ...
"전기자극으로
척수
손상 치료"…재활 과정 세포 수준에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전망이다. 쿠르틴 교수는 논문에서 "
척수
손상 후 보행능력을 회복하는 데 관여하는 뉴런을 확인했다"며 "더욱 복잡한 행동을 이해하는 뉴런 지도를 마련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고 말했다 ... ...
뼈에 암세포 전이 메커니즘 찾는다...'미니 뼈' 개발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지난 3월 뇌와
척수
로 발달하는 배아 구조인 신경관의 형태를 그대로 구현한 인공
척수
개발에 성공했다. 지난해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뇌의 미세환경과 닮은 3차원 하이드로젤을 개발해 기존보다 커다란 '미니 뇌'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 ...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연합뉴스
l
2022.09.06
거의 없었다. 하지만 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아교세포가 목표 지점을 이탈해
척수
상부의 '지각 영역'(sensory area)'까자 올라간 환자가 일부 나았다. 이러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논문의 교신저자를 맡은 클라이브 스벤센 생물의학 교수는 "ALS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치료법 개발에 ... ...
약 700만년 전 인류 두 발로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앞에 있음을 근거로 이족보행을 한 인류라는 분석을 내놨다. 큰 구멍은 뇌에서
척수
가 나가는 통로다. 이족보행을 하는 동물은 사족보행을 하는 동물에 비해 구멍이 앞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이유로 사헬란트로푸스차덴시스는 이족보행을 한 최초의 인류로 여겨져 왔다. 프란크 ... ...
인공 신경으로
척수
손상된 쥐 다리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운동을 신경을 모방하는 ‘뉴로모픽’ 유기 인공 신경을 통해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척수
나 신경이 손상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16일자(현지시간)에 게재됐다. 한번 손상된 신경은 재건하기 어렵다. 생체 ... ...
지구촌 곳곳 극한 ‘폭염’, 왜 인간을 위협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1
단백질과 이온이 뇌에 쌓여 염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혈액 뇌장벽은 혈류로부터 뇌와
척수
에 물질 유입을 막는 장벽으로 혈류 속 해로운 물질이 뇌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데 영향을 주는 땀을 과하게 흘릴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우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