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터
쎈타
쎈터
지점
시설[지구]
상점가
뉴스
"
중심부
"(으)로 총 312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거운 짐 장시간 단단히 쥐는 로봇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로봇 장갑을 직관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그간 근육
중심부
의 근전도 신호가 주로 사용된 것과 달리 연구진은 천지굴곡근의 힘줄과 근육의 접합부에서 나오는 근전도 신호를 포착했다. 그 결과 여러 개의 센서 대신 손목 부위에 센서 하나만 달아도 악력을 낼 수 ... ...
[잠깐과학] 세계 최초의 지하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1.02
기차를 설치해 교통 문제를 줄이자고 제안했다. 우여곡절 끝에 이 제안이 채택되어 도시
중심부
6㎞구간에 지하 철도를 만드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터널을 뚫는 동안 수많은 사고가 일어났지만 1863년 1월 10일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선이 개통했다. 현재의 지하철과 달리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인용됐다. 1992년 최초로 블랙홀을 간접 관측한 것도 허블우주망원경이었다. 은하 M87의
중심부
에서 태양 질량의 26억 배에 달하는 블랙홀을 발견했다. 이외에도 팽창 우주론의 결정적인 증거가 된 초신성 관측, 소행성대의 진화 추적, 탄생 초기의 별 관측 등 천문학계의 굵직한 발견 뒤에 ... ...
[코로나19 연구속보] 병주고 약주는 코로나19 변이, 감염 10배 빠르지만 백신에 취약
2020.11.16
세포에 좀 더 효과적으로 감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또한 바이러스의 취약한
중심부
까지 통하는 통로를 만든다. 일단 덮개가 열리면 항체가 쉽게 바이러스에 침투해 파괴할 수 있다. 현재 연구되는 백신 중에는 항체 백신들도 있다. 배릭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한 위스콘신-매디슨대 ... ...
블랙홀 빨려든 별, 국수처럼 늘어났다가 초속 1만km로 흩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남반구의 별자리 에리다누스 중간에 위치한다. ESO 제공 연구 결과 이 섬광이 관측된 은하
중심부
에는 태양이 100만 배 모인 것과 같은 질량의 초대질량블랙홀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주위를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지닌 AT2019qiz라는 별이 돌고 있다 결국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면서 강력한 ... ...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은하단 사진에는 은하단이 일반적으로 만들어내는 중력렌즈 현상뿐만 아니라, 은하단
중심부
에서 만들어낸 소규모의 중력렌즈 현상이 다수 포착됐다. 이렇게 만들어진 은하단 전체의 중력렌즈 현상은 연구팀이 예상한 것보다 수십 배 강한 적색편이 현상을 나타냈다. 빛의 파장이 늘어나 보이는 ... ...
노벨상 놓친 호킹 박사 절친 펜로즈 등 블랙홀 연구자 3인 노벨물리학상(재종합)
2020.10.06
겐첼 교수는 별의 탄생과 블랙홀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은하
중심부
에서는 강한 에너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같은 에너지를 활동성 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us)이라고 부른다. 어떤 은하는 AGN이 강하고 어떤 은하는 AGN이 없거나 약하다. 겐첼 교수는 AGN과 별 탄생의 관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시작하며 외피층이 급팽창해 적색거성이 된다(표면 온도는 낮아져 붉게 보인다).
중심부
가 수축을 계속해 온도가 1억 도를 넘어가면 헬륨이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탄소와 산소가 만들어진다. 이때 외피층이 급팽창해 ‘행성상 성운’으로 흩어지고 중심핵만 남는다. 이 과정이 약 20억 년에 걸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유전학에 컴퓨터와 수리통계적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당시 분자생물학의
중심부
에서는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빠른 속도로 해독되고 있었고, 생물학자들은 이 정보를 사용해 생물종의 진화적 관계를 연구하는데 사용하고 있었다. 서열정보가 많아질 수록, 이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젊을 때 별의
중심부
에서 만들어져 뿜어져 나가는 광자 등의 물질이 별을 이루는 물질이
중심부
로 수축하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별이 수명을 다하면 이런 힘이 약해지면서 별이 무너져 내려 수축해 태양 질량의 약 65배 이하의 별을 형성한다. 태양 질량의 200배 이상의 매우 무거운 별 역시 그대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