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협회
혼합
길드
회
콤비네이션
혼화
뉴스
"
조합
"(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밀 약물 전달 가능해지나…엑소좀에 치료물질 안정 부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통해 엑소좀을 활용한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며 “맞춤형 기능을
조합
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질병에 최적화된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doi.org/10.1 ... ...
세계 첫 유전자 재
조합
탄저백신 국내서 개발…"품목허가로 자급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따르면 기존 상용화된 백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독소인자 부작용을 개선했다. 유전자 재
조합
기술을 이용한 탄저백신을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세계 최초의 사례다. 질병청이 주관하고 녹십자가 협력해 개발했다. 국내 개발 탄저백신이 허가를 취득하면서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탄저백신을 ... ...
커피믹스 양산 공법 응용해 고용량 이차전지 전극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용량이 상용 전극의 약 2배로 나타났다. 황 선임연구원은 "전극 내부 소재의 최적
조합
으로 에너지 밀도와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며 "전고체전지나 리튬황전지 등 차세대 전지 분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윤지희 KIMS 융·복합재료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 ...
사람처럼 단어
조합
해 소통하는 보노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위트레흐트대 연구원은 뉴욕타임즈에 "사람은 더 복잡한 문법 규칙에 따라 단어를
조합
하고 조립한다"면서 "현재 연구결과로서는 언어의 진화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 ...
AI 활용해 화재 고온에서도 버티는 철강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금속이 필요해 원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11가지 합금 원소를 다양하게
조합
하고 각 조성에 대해 고체 용액 강화, 석출 강화 등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기여도를 계산했다. 5000개의 조성에 세 가지 열처리 조건을 적용해 3만 개 이상의 고온 항복강도를 예측하는 대규모 ... ...
데이터 없이 정확한 분석…단백질 분석 판도 바꿀 새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드노보(DeNove·기존에 알려진 정보 없이 새로운 것을 분석하거나
조합
하는 방식) 서열 분석 모델 '인스타노보(InstaNovo)'와 단백질 조각 예측을 수동으로 정제하는 방식을 모방해 서열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확산 기반 반복 정제 모델인 '인스타노보플러스(InstaNovo+)'를 개발하고 ... ...
안경 없이 온전한 3D 디스플레이 나올까…RGB 구현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안쪽 껍질에서 적색, 바깥쪽 껍질에서 청색을 발광하도록 한 것이다. 세 종류의 적외선을
조합
해 나노입자의 발광을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입자는 TV가 표현할 수 있는 표준 색상 범위인 'NTSC 색공간'의 94.2%를 달성했다. 같은 방식의 발광 나노입자 중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 ...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구상나무가 한라산에서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25.03.29
'구상나무'란 이름은 제주도 사투리로 성게를 뜻하는 '쿠살'과 나무를 뜻하는 '낭'의
조합
이다. 쿠살낭. 잎이 가지에 달린 모양새가 성게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실제로 만져보면 구상나무 잎은 무척 부드럽다. 짧고 뭉툭한 잎에서 신선한 침엽수 향기가 난다. 구상나무 가지 하나를 사무실에 두고 ... ...
[과기원NOW] UNIST, 유기 양이온 특이성을
조합
한 박막 제어로 태양전지 내구성·효율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석상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석상일 에너지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박막 표면에 양이온의 특이성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해 고효율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 ... ...
일본 첫 아벨상 수상 카시와라 교수, 고등과학원과 10년 인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공동연구를 통해 입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복잡한 대수 구조를 '클러스터 대수'라는
조합
적 방법으로 기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고등과학원에 따르면 카시와라 교수가 고등과학원 연구원 출신 김명호 경희대 교수, 박의용 서울시립대 교수, 오세진 성균관대 교수와 출간한 논문은 1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