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공환경"(으)로 총 2,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과 투자 기대"…구혁채·박인규에 쏠린 관심동아사이언스 l2025.07.1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제1차관으로 구혁채 기획조정실장이,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박인규 서울시립대학교 물리학과 석좌교수가 임명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AI미래기획수석부터 과기정통부 후보자로 인공지능(AI) 전문가가 지명되며 과학기술정책이 AI에 지나치게 집중되 ... ...
- 韓 첨단 연구선 탐해3호, 서태평양 공해로 해저 희토류 탐사 출항동아사이언스 l2025.07.14
- 탐해 3호가 동해에서 스트리머 장비를 활용해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고 있다. 지질연 제공 한국의 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 3호'가 서태평양 공해로 희토류 탐사를 나선다. 취항 이후 첫 대양 출항이다. 탐해 3호는 앞으로 6년에 걸쳐 희토류 부존량을 확인하고 개발 가능성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확 ... ...
- “손끝에서 느껴진 무게감"…AI로 수술 감각까지 복원한 다빈치5 직접 작동해보니동아사이언스 l2025.07.14
- 인튜이티브 사의 수술로봇 '다빈치5'가 트레이닝센터에 설치돼 있다. 왼쪽은 집도의가 수술을 조작하는 '콘솔', 중앙은 수술 부위를 고화질로 구현하는 영상 장비 '타워', 오른쪽은 로봇 팔이 장착돼 실제 시술이 이뤄지는 '로봇'이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손목이 덜 아픈데요. 작은 고리를 잡아 ... ...
- 눈 건강 돕는 '루테인' 고효율 대량 생산동아사이언스 l2025.07.13
- (왼쪽부터)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은현민 박사과정생(제1저자), 신디 박사(공동 제1저자). KAIST 제공. 노안 및 백내장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눈 건강 기능성 성분 ‘루테인’을 기존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이상엽 생 ... ...
- "팔리는 핵융합로, 국가 주도 개발 어려워…민간 제조역량 살려야"동아사이언스 l2025.07.13
- 이경수 인애이블퓨전(EnF) 대표. 인애이블퓨전 제공 국내 첫 핵융합에너지 민간 기업인 인애이블퓨전(EnF)의 이경수 대표는 국가 주도만으로는 2100년이 돼도 상업성이 있는 '팔리는 핵융합로'를 만들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강점인 민간의 제조기술 역량을 십분 활용해 핵융합발전소 상용화를 ... ...
- [스페이스버드]⑥ 전투기부터 인공위성까지…하늘·우주를 넘나드는 KAI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5.07.11
- 한국항공우주산업에 방문한 어린이 우주 기자단. 스튜디오51 제공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는 대한민국 미래 우주인을 발굴하고 어린이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도전 정신을 심어주기 위해 2024년부터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를 주최합니다. 2024년 1656명 ... ...
- 10cm만 자라고 단백질 풍부한 쌀…우주농업 연구 성과 가시화동아사이언스 l2025.07.11
- 유전자 교정을 통해 우주 재배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개량한 벼의 모습. 밀라노대 제공. 국제우주정거장(ISS)과 달을 넘어 화성으로 이주하는 등 심우주로 진출하는 원대한 계획을 세운 인류가 우주공간에서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주농업'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지구에서 식량을 갖고 가는 ... ...
- [사이언스게시판] 워커린스페이스, KT샛과 구매의향서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워커린스페이스의 상업용 궤도상서비싱 로봇위성 데모임무 시나리오 개념도. 워커린스페이스 제공 ■ 우주기업 워커린스페이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통신위성을 보유한 KT샛(KT SAT)과 국내 최초로 궤도상서비싱(OOS, On-Orbit Servicing) 구매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워커린스페이스는 위성 ... ...
- 음성 지시 따라 수술…돼지 담낭 제거한 로봇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로봇이 사람의 음성으로 지시를 받으며 담낭 제거 수술을 수행하고 있다. Credit Ji Woong (Brian) Kim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지시에 따라 여러 단계의 수술을 스스로 수행하는 로봇 기술이 개발됐다. 로봇은 돼지의 담낭을 제거하는 복강경 수술에서 외과의사의 개입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수술 전 과정 ... ...
- AI로 화학물질 독성 예측 플랫폼 개발…학생 주도 '과학 소통'까지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5일 서울시립과학관에서 진행된 '환경 속 독성 실험 교실'에 참여한 중학생들이 현미경으로 예쁜꼬마선충을 관찰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움직임이 확실히 줄어들었어요!" 5일 오후 서울시립과학관 교육장에서 현미경에 눈을 딱 붙인 중학생들이 소리쳤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노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