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종자
자손
뿌리
근본
혈통
정자
뉴스
"
씨앗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 타고, 초음파 타고…
씨앗
·박테리아서 영감 초소형 장치
연합뉴스
l
2021.09.23
불리는 인터넷과 연결된 장치 기술 등에 활용될 수 있다"면서 낙하산형과 글라이더형
씨앗
이 바람에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 결과만으로도 비행 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고 했다. ◇ 초음파 진동으로 움직이는 세포 크기 로봇 [Cornell University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근교약세) 이들 사이의 잡종은 수확량도 많고(잡종강세) 균일하다(uniform F1 hybrids).
씨앗
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말이다. 셀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2012년 9월부터는 프리랜서 작가로 ... ...
백금촉매·이차전지·음극소재 자립화 올해도
씨앗
더 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올해 신규 과제를 선정하고 백금촉매와 이차전지 음극소재 등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자립화를 위한 연구단 8개와 미래 홀로그램 소재 등 미래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실 4개를 국가핵심소재연구단에 선정했다 ... ...
코딩문외한도 SW 창업했다…KAIST 앱 창업지원 14주간 37개 스타트업
씨앗
뿌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KAIST 창업 지원 프로그램서 대상 수상한 관리비책 팀의 모습이다. 왼쪽부터 김동욱, 유성국, 이윤곤 씨. KAIST 제공 데이터 기반 관리사무소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중인 스타트업 ‘관리비책’의 유성국, 이윤곤 공동대표는 소프트웨어(SW) 프로그래밍을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었다. 이 ... ...
델타 변이·임시검사소 확진자 증가·20~30대 확산...확산 경고한 신호 많았다
2021.07.08
“5월 12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 델타변이 확진자가 160명 확인됐다”며 “이들이
씨앗
역할을 하면 당연히 7월 초부터는 델타 변이 확진자가 무더기로 등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6월 7일부터 7월 6일까지의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확진자 수를 그래프로 나타냈다. 6월 초 80명대에서 점차 100명대로 ... ...
'6월에 도대체 무슨 일이…' 코로나 확산 심각성 왜 인식 못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정도로 이동량이 증가했다. 이런 이동량은 1000명이 넘는 하루 확진자가 발생하는
씨앗
이 됐다. 지난해 코로나19가 확산할 때 이동량 증가 패턴과도 유사하다. 지난해 주말이던 6월 20~21일 전국 이동량은 직전 주말에 비해 8.4% 증가한 7315만건으로 기록됐다. 휴가철이 겹치면서 이동량이 늘기 ... ...
세포를 색칠해 최초의 암세포 골라낸다
과학동아
l
2021.07.06
암 발생 초기의 비밀을 밝힐 단서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암 발생 초기 단계의 소위 ‘
씨앗
세포’라고 불리는 초기 암 돌연변이 세포는 정상조직에 둘러싸여 쉽게 관찰되지 않고, 주변 정상 줄기세포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거든연구소와 오스트리아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것은
씨앗
과 1~2년 이내 발아한 초본이 물에 떠내려가는 일이 사라졌다는 뜻이다. 이는
씨앗
의 발아를 늘리고 초본류의 성장을 촉진했다. 하천의 식생 증가는 다시 하천의 변화를 이끈다. 식생 분포가 늘면 상대적으로 강폭이 줄게 된다. 이는 홍수 위험을 높인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과일이 열리는 나무를 발견하면 꺾꽂이나 접목 등 무성생식 방법으로 개체 수를 늘렸다.
씨앗
을 심어 키운 나무에서는 같은 품질의 과일이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앞의 잡종 작물과 같은 이유다). 그런데 유성생식으로 게놈 재조합이 없음에도 새로운 특성이 종종 나타나고 때로는 바람직한 방향이라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①대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면 대학 연구 지원해야
2021.06.16
R&D)을 담당할 인재들이다. 그런 점에서 대학의 연구는 결국 한 나라의 미래 산업발전의
씨앗
에 해당한다. 세계 각국이 국가 차원에서 대학 연구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그림1) 대학 개혁을 통해(맨 아래 표) 대학 연구의 질을 높이려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이 지금처럼 급속히 과학기술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