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꾸러미
소낭
팩키
패키지
소포엽
소하물
짐짝
뉴스
"
소포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이러스 면역 반응
동아사이언스
l
2017.11.27
있다고 알려져 있다. 로버트 탐페 독일 괴테대 생화학연구소 교수팀은
소포
체 막과
소포
체 막에 박혀있는 PLC의 구조를 관찰하고, 그 구조를 분석해 네이처 22일자에 발표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신체에 있는 각 세포에서는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반응이 일어난다. 면역 세포에서 ... ...
시냅스서 신경전달물질을 담은
소포
체는 어떻게 방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1 복합체’(이하 복합체)라고 이름 지었다. 뉴런의 세포막과 신경전달물질을 담은
소포
체(컴플렉신)의 세포막이 융합돼야만 컴플렉신이 뉴런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 복합체의 구조는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토세포 현상이 오류 없이 일어나도록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 ...
시속 80km로 하늘을 나는 차
팝뉴스
l
2017.07.12
스포츠계의 관심이 높다고 하다. 사람이 타지 않고 드론으로 활용할 수도 있어서,
소포
를 배달하는 등 여타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사에서는 이 비행체를 위해 24시간 위성을 통해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이 회사는 미국과 EU에서 경비행기 허가와 관련된 법률문제를 조정하고 있는 ... ...
“아이는 엄마의 성을 따라야 한다”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2017.07.04
이런 주장을 한 이유는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DNA 때문입니다. 사람의 세포에는 핵,
소포
체, 미토콘드리아 등 다양한 세포소기관이 있는데요. DNA를 가지고 있는 건 핵과 미토콘드리아뿐입니다. 미토콘드리아 DNA(mtDNA)와 호주제가 무슨 상관이 있냐고요? mtDNA는 오롯이 엄마에게서 온 DNA입니다. 우리는 ... ...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
과학동아
l
2016.12.25
세포 안에서 오토파지가 일어나는 모습으로, 위의 동그란 구조물이 자가
소포
체다. 자가
소포
체의 막과 액포(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의 막이 연결되면서 두 구조물이 하나로 합쳐지고 있다. 효모에서는 액포가 라이소좀의 역할을 한다. David Goodsell 제공 마치 크리스마스의 꽃, 포인세티아를 ... ...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무궁화를 확대하면 바이러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6.12.19
70배 확대했다. 가운데에 뻥 뚫린 공간이 있고 주변에 작은 공간이 있는 모습이 핵과
소포
체를 소기관으로 지닌 세포의 모습을 닮았다. 수술대에 붙은 꽃가루는 공교롭게도 표면에 단백질이 규칙적인 모양으로 배열돼 있는 바이러스와 닮았다. 그 바이러스가 세포를 침투하고 있다. ※ 편집자 주 ... ...
(영상) [2016 노벨 생리의학상] 세포 속 청소부, 오토파지
과학동아
l
2016.12.10
서로를 빨아들이듯이 하나가 됩니다. 라이소좀에 가득 들어있는 가수분해효소는 자가
소포
체가 가지고 있던 부산물을 잘게 부숩니다. 이런 현상은 스스로 먹는다는 뜻의 오토파지라고 부릅니다. 과학자들은 이런 세포 속 청소부가 없다면 나쁜 단백질과 병균이 쌓여서 치매나 암 같은 심각한 ... ...
[2016 노벨 생리의학상] 日과학자의 자가포식 메커니즘 발견
2016.10.03
시간이 지나지 않아 액포 안에 분해되지 않은 수 많은
소포
가 가득찼다(그림2 참고). 이
소포
는 모두 자가포식소체였다. 오스미의 실험은 자가분해가 효모에서도 존재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오스미가 자가분해를 관장하는 유전자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고안해냈다는 ... ...
[미토콘드리아의 비밀]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03
그룹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들어와 골지체와
소포
체 등 세포 내막의 형성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에너지 생성 유전자는 진핵세포의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들어온 축이었다. 시간순서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에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Polo Kinase)에 의해 인산화된 미로(Miro)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와 다른 세포 소기관인
소포
체 간 결합을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 내 칼슘 유입양을 늘린다. 그 결과 신경줄기세포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