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뼈대"(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2016.07.08
- 10분의 1 정도로 무게는 10g, 몸통 너비는 약 16㎜다. 10원짜리 동전(18㎜)보다 작다. 뼈대는 실제 가오리와 동일하다. 가오리 로봇의 핵심은 근육을 이루는 쥐의 심장근육세포다. 가오리 로봇 한 마리에 심장근육세포 20만 개가 들어갔다. 연구진은 머리 부분에 위치한 심장근육세포의 유전자를 ... ...
- [캐릭터 만드는 비법 ④] 방정식이 만드는 동작수학동아 l2016.07.04
- 움직이고, 팔꿈치 주변의 피부도 약간 눌려야 훨씬 진짜 같지요. 그래서 캐릭터의 뼈대와 뼈대를 잇는 관절마다 가상의 좌표축을 심습니다. 그러면 관절이 움직일 때 근처에 있는 피부의 점도 함께 움직이도록 계산할 수 있지요. 피부에 있는 한 점의 좌표는 근처에 있는 관절이 얼마나 움직이는지에 ...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2016.06.14
- 투명한 기판이 드러났다”며 “극성 비양자성 용매가 페로브스카이트 광 흡수층의 뼈대를 형성하는 납과 잘 결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세척 공정을 거친 투명 전도성 기판을 재활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더니 새 태양전지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보인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 ...
-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과학동아 l2016.04.24
-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고무링 모양으로 성장시킨 뒤, 3D프린터로 출력한 7mm~2cm 길이의 뼈대 구조에 부착해 로봇을 만들었다. 여기에 빛을 비췄더니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로봇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바시르 교수는 “고무링 모양의 근육세포를 이용해 다양한 구조를 연결할 수 ... ...
- 앱, 그 다음은 인공지능 봇의 시대2016.04.13
- 페이스북은 그걸 쉽게 해 주겠다는 것입니다. 페이스북이 필요한 기술과 프로그램의 뼈대 등을 모두 주고 사람들은 그걸 가져다 상황에 맞게 약간만 고쳐쓰면 됩니다. 왜 페이스북은 사람들이 메신저에서 자동 채팅 봇을 만들어 쓰게 하려는 걸까요? ● 웹에서 모바일 앱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 ...
- [CAR]“이거 레이싱카 아냐?”… ‘미친’ 주행 성능에 등줄기 촉촉동아일보 l2016.03.25
- 접목됐다. 차체는 92%의 알루미늄과 6.6%의 철, 1.4%의 마그네슘 합금으로 구성돼 기본 뼈대 무게가 231kg에 불과하다.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도 가볍고 튼튼하지만 가공이 힘들고 부식도 심해서 폭넓게 차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AMG GT S에도 양쪽 헤드라이트와 라디에이터를 고정하는 지지대 ... ...
- [R&D가 희망이다]친환경차-스마트카 등 4년간 13조3000억 투자 미래형 자동차 개발동아일보 l2016.02.29
- 현대·기아자동차는 2020년까지 평균 연료소비효율을 25% 향상시키겠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20 연비 향상 로드맵’에 맞춰 친환경차 라인업을 22개 차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현대차는 5개, 기아차는 4개 등 총 9종의 친환경차를 선보였다. 현대·기아차는 2020년까지 차량 라인업을 ... ...
-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02.04
- 금속을 태울 수 있다고? 건물에 불이 나 홀랑 다 타버려도 결국 끝에 남는 건 단단한 철골 뼈대 아니던가. 꼬리에 꼬리를 잡고 수많은 의문들이 뭉게뭉게 피어났다. 그러나 윤웅섭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금속을 연료로 이용한 건 이미 오래됐다”고 말했다. “공중에서 금속 분말을 태워 ... ...
- 기아차, 2030년 완전 자율주행 목표 ‘드라이브 와이즈’ 첫 선동아닷컴 l2016.01.06
- 및 출차 지원 등이 있으며, 이는 향후 미래 시대에 도래하게 될 완전 자율주행차의 뼈대가 되는 기술들이기도 하다. 한편 기아차는 CES 개막에 앞서 지난 5일(현지시간) 기자단을 대상으로 열린 프레스데이 행사에서 자율주행 기술 및 향후 비전 발표와 함께 자율주행 기반 신규 브랜드인 ‘DRIVE WISE ... ...
- 표준모형의 산증인,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 인터뷰과학동아 l2016.01.02
- 통합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논문(‘Model of Leptons’)을 발표해 표준모형의 뼈대를 세웠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 가운데 두 가지를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진보였다. 특히 그는 피터 힉스가 제시한 힉스 메커니즘을 도입해서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에, 힉스 입자의 발견은 ... ...
이전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