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모
뉴스
"
불임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꽉 끼는 속옷, 정자를 생각한다면 양보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8.09
헐렁한 속옷(복서)을 입는지 여부를 같이 조사했다. 그 뒤 통계를 이용해 각각의 요인이
불임
에 미친 영향을 밝혀 학술지 ‘인간 생식’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속옷의 종류에 따라 정자 수와 질이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꽉 끼는 속옷과 헐렁한 속옷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불임
남성들이 냄새를 잘 못 맡았다. 즉 OR1D2에 문제가 생겨 정자의 활동력이 떨어진 게
불임
으로 이어졌다는 말이다. 후각상피에 존재하는 OR1D2는 숨을 들이쉴 때 콧구멍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에 포함된 분자를 감지해(예를 들어 부르지오날) 그 정보를 뇌(후각피질)로 보내는 게 일이지만(뇌에서 ... ...
정자 머리-꼬리 이어주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3
알려졌지만 그 역할에 대해서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남성
불임
원인 이해나 진단은 물론 새로운 피임제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뉴로섹시즘]② 남·녀에게 어울리는 색은 따로 없다
2018.03.23
주를 시발점으로 총 30개의 주가 관련 법안을 제정했고 이로 인해 약 6만 4천여 명이 강제
불임
시술을 받았다. 디애나 주정부는 이를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해놓았다 출처 : 인디애나 주정부 홈페이지 캡쳐 우생학과 뉴로섹시즘 모두 생물학적 차이를 근거로 사회적 차별을 옹호한다. 문제는 생물학적 ... ...
체외 인간 난자 배양 세계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8.03.05
계획”이라며 “이번 연구는 인간 난자의 체외 배양 가능성을 처음 보여준 만큼 새로운
불임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 인간 생식’ 1월 30일자에 실렸다. doi:10.1093/molehr/gay00 ... ...
난자 생존력 키워 가임 기간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3
방법을 알아냈다. (사진=GIB) 최근 결혼과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갈수록 난임·
불임
이 늘어나는 추세다. 미국 프린스턴대학 연구팀은 난자의 생존력을 높이고, 가임 기간을 3~6년 연장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프린스턴대학 분자생물유전학과 콜린 머피(Coreen Murphy) 교수는 인간의 노화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세포를 포획해 원하는 곳으로 인도하는 로봇이 대표적이다. 활동성이 약한 정자를 도와
불임
을 치료할 수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 지능시스템연구소는 올해 3월 아예 정자 모양을 한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고분자용액에 철 입자를 넣어서 정자 모양의 구조물을 만든 뒤 자기장을 ... ...
최초 대규모 역학조사팀의 경고...미세먼지와 아시아인 정자 질 관계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2
보이지만, 대기 오염은 모든 곳에 존재하며 영향을 미친다”며 “미세먼지가 많은
불임
커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미세먼지의 독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면서도 "생체 내 메커니즘은 비슷하기 때문에 연구 ... ...
친환경 달걀 농장에서 나온 DDT... 38년 금지 농약 어떻게 검출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24
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후손들의 DNA에 흔적을 남겨 현대인들의 각종 대사질환과
불임
의 만연에 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 CDC 제공 DDT는 대표적인 내분비계교란물질(환경호르몬)이며, 2015년 국제암연구기구(IARC)가 분류한 잠재적 발암물질이다(2A그룹). 독성이 있지만, 동물을 이용한 경구독성실험 ... ...
아들 건강 위협하는 엄마의 저주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축적돼 온 mtDNA 돌연변이가 남자 아이에게 해로울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었다. 노화와
불임
은 물론 두 눈의 시력을 차츰 잃게 만드는 레버신경위축증과 같은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퀘백에 사는 프랑스계 캐나다인에 주목했다. 1608년 새로운 식민지의 성비를 맞추기 위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