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가장 젊은 시먼은 뉴욕대에 자리를 잡아 DNA 염기 상보성을 이용해 계산을 하거나 나노
미터
크기의 구조물을 만드는 'DNA 나노테크놀로지' 분야를 개척했다. 이처럼 기발한 아이디어가 넘쳤던 시먼은 안타깝게도 2021년 75세에 가장 먼저 세상을 떠났다. ● 1971년 PDB 공동설립자로 헬렌 버먼은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처음 화석을 발견했고 1986년부터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됐다. 파헤치고 보니 이곳은 제곱
미터
당 100~300점의 화석이 나오는 북아메리카 화석층 중 화석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었다. 캐나다에서 가장 유명한 화석 산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지정된 '공룡 주립공원(Dinosaur ProvincialPark)'보다도 3~4배 ... ...
천연물 '세큐린진 B' 최초 합성…분자 광스위치로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분자구조가 변형되면서 물질 성질이 바뀐 것이다. 이 변형된 구조의 물질에 310nm(나노
미터
) 파장의 자외선을 쬐었더니 다시 원래 구조로 돌아오면서 노란색이 됐다. 연구팀은 고분자에 새로 개발한 광 감음 물질을 적용했다. 연성고분자의 일종인 PDMS 고분자에 분자 광스위치 물질을 혼합하고 ... ...
방충망처럼 생겼지만…실내 온도 낮추는 복사냉각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빛을 반사하도록 다층 박막 구조로 설계된 거울이다. 연구팀은 은 기판에 마이크로
미터
(㎛) 규모의 구멍을 뚫어 방충망 같은 구조를 설계했다. 빛을 통과시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 다음 적외선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인 ‘대기창 영역’에서 실리콘 기반 고분자 물질인 ... ...
11월 과학기술인상에 정일문 박사…물공급 소외지역 위한 샌드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통해 기존 취수원과 바이패스형 샌드댐을 연계 운영했다. 그 결과 일 평균 281㎥(세제곱
미터
), 최대 462㎥ 만큼의 물을 공급해 20년 빈도 가뭄에도 대응 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다. 정 본부장은 “샌드댐은 모래 속에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가뭄에도 증발 손실이 없고 겨울철에도 얼지 않아 산간지역 ... ...
그래핀으로 뇌종양 위치 정확히 잡아낸다…첫 임상시험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라 불린다. 그래핀은 강도가 강철의 200배에 달한다. 두께는 원자 한 층 수준인 0.35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전기와 열 전도성도 우수하다. 실리콘보다 전기 전도성이 100배 뛰어나며 전자기기나 고출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발열 문제를 최소화한다. 이같은 ... ...
색깔 변화만으로 건물 노후화 진단하는 구조색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9월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구조색은 색소나 전원 없이도 물체 표면의 나노
미터
(10억분의 1m) 패턴 구조가 빛을 반사하며 내는 색깔이다. 공작새 깃털, 모포나비 등 자연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 빛의 입사각이나 관찰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해 구조색을 센서나 안내 용도로 사용하기 ... ...
[동물do감] 체력 안배 위해 한밤 사냥 선호하는 웨델 물범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활발히 활동하는 생물이다. 900m(
미터
) 이상의 수심에 도달할 수 있는 뛰어난 잠수 능력이 있으며 일부 개체는 무려 96분 동안 잠수할 수 있다. 웨델 물범은 해가 가장 밝은 정오에 가장 깊이 잠수해 사냥 활동을 하고 밤에는 휴식을 취할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QD-LED 성능 끌어올려…가상현실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연구결과는 9월 23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공개됐다. 양자점은 수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작은 입자로 에너지를 흡수하면 특정 빛을 방출해 디스플레이 등에 쓰이는 나노물질이다. 양자점은 기존 디스플레이 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과 비교하면 색 순도가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BHJ) 간의 에너지 장벽을 완화하고 전하 축적을 억제했다. 이를 통해 전류 밀도를 1cm(센치
미터
) 당 4.9mA(밀리암페어)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다이폴 층은 소자 내 에너지의 준위를 조절해 전하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계면의 전위차를 형성해 소자 성능을 향상하는 역할을 하는 얇은 물질 층이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