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현
서술
기술
특징짓기
그리기
표시
뉴스
"
묘사
"(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충돌시 지구는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22
뚫린 구멍에선 내부에 담긴 열에너지가 보인다. 소행성이 가진 강력한 폭발력을
묘사
했다. 과학계에 따르면 현재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위험은 '0'에 가깝다. 하지만 지금도 과학자들은 소행성이 충돌했을 때 지구에 미치는 충격을 가늠하고 대처법을 고민하고 있다. 아무리 낮은 가능성이라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기월식 달빛에 담긴 화산 폭발의 흔적
2023.04.19
0~1300년 동아시아에서 남긴 개기일식 61건에 대한 기록 199편 가운데 유일하게 달의 밝기가
묘사
돼 있어 화산 폭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明月記 제공 “최근 개기월식과 관련해, 비록 이전에도 이런 일이 있었지만, 옛사람들이 이번처럼 제대로 식별할 수 없는 달을 본 적은 없었다. 달은 월식 동안 ... ...
[오늘과학] 작년 전세계 풍력·태양광·원자력 등 비중 39% 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보고서는 "지난해 지구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역사상 가장 '깨끗한' 에너지였다"고
묘사
했다. 지난해 친환경 에너지 사용 비중이 증가한 데는 중국의 친환경 에너지 생산 열풍이 꼽힌다.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국가로 꼽히는 중국은 지난해 전세계 풍력에너지 생산량의 50% 가량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서 삽화 - 에스파냐의 멕시코 정복 이후 나후아족 사람들에게 천연두가 발병한 것을
묘사
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 잉카문명 멸망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윌리엄 맥닐은 두창의 유행에 의해 왕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후 내란이 일어난 것이 피자로의 군대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 ...
호랑이에도 MBTI 통한다...'내향형'과 '외향형' 나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된 호랑이 중 40%가 해당됐다. 이 유형의 호랑이는 자신감, 경쟁심, 야망심과 같은 단어로
묘사
됐다. 두번째 유형은 38%의 호랑이가 분류된 '안정형'이다. 이 유형의 호랑이는 순종적임, 관용적임, 온순함 등의 수식어로 설명됐다. 호랑이의 성격적 차이는 생활모습의 차이로 이어졌다. 위엄형 ... ...
위협적인 티라노사우루스 이빨, 입술에 가려 안보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대부분 육식공룡이 수각류 공룡으로 분류된다. 그동안 책이나 영화에선 수각류 공룡을
묘사
할 때 평소에도 겉으로 드러난 이빨을 강조하곤 했다. 입을 다물고 있어도 이빨이 삐져나오는 악어와 비슷한 모습이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수각류 공룡의 실제 모습은 악어보다는 도마뱀에 가까웠다. ... ...
18세기 거북선 실제 모습은..."등껍질 가진 형태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이 기록을 기반 삼아 복원된 거북선은 실제 거북이처럼 둥그런 등껍질을 가진 것으로
묘사
된다. 그러나 국내 연구자가 거북선의 지붕이 전체를 둥글게 씌운 형태가 아니라는 분석을 내놨다. 그동안 알고 있던 거북선 모습에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채연석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전 ... ...
산호 살리는 차세대 자외선 차단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16년 미국 과학자들은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옥시벤존’이 바닷속 산호에 큰 피해를 준다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5월에 ... 개발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산호 친화적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의 특성을
묘사
한 그래픽. 칭화대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갑각류 눈에 달린 나노 사이즈 반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7일 갓 태어난 갑각류를
묘사
한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갑각류는 게나 바닷가재 등을 이르는 말이다. 갓 태어난 갑각류는 투명한 몸에 눈에만 불투명한 색을 띤다. 곧 서식하는 지역의 물 색깔과 눈의 색깔을 일치시킨다. 포식자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눈 속의 ... ...
[주말N수학] 日 수학자, K-드라마 보고 n차원 별자리 정리 풀었다?
수학동아
l
2023.02.18
퍼즐을 만들거나 수학책을 쓰는 데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래서 대중에게 소위 괴짜로
묘사
되던 수학자 이미지를 조금 바꿔보자는 생각으로 자문에 참여했지요. 세키 교수의 소식은 2021년 2월 KAIST 수리과학과가 주관한 온라인 강연을 보다가 알게 됐어요. 세키 교수와 공동연구한 카이 교수가 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