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뉴스
"
먹이
"(으)로 총 1,26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갑오징어도 사람처럼 '잘못된 기억' 불러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경로). iScience 제공 먼저 갑오징어에게 좋아하는
먹이
인 새우, 새우보다 덜 좋아하는
먹이
인 게가 각각 담긴 통과 빈 통을 특정 무늬와 짝지어 보여줬다. 2분 뒤에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새우 통과 빈 통을 보여줬다. 1시간 뒤에는 새우 통을 빼고 마찬가지로 무늬만 보이게 한 빈 통과 게 통 중에서 ... ...
독수리 사라지니 50만명 사망, 무슨 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동시에 죽은 동물이나 썩어가는 동물들을 찾아다니며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사체들을
먹이
로 삼기 때문에 사체를 통해 질병이 퍼지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인도 농장에서는 죽은 가축들을 수로에 그냥 버리는 사례들이 발생하는데 이는 질병이 크게 퍼지는 원인이 된다. 독수리는 ... ...
[동물do감] 빵 먹고 자란 '도시 갈매기'도 생선 제일 좋아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있다"며 "동물은 도시에 살면서 인간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 행동이 그런
먹이
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어린 동물이 섭취한 음식이 이후 생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 doi.org/10.7717/peerj.17565 ... ...
다이어트약 부작용 '메스꺼움' 없앨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그 결과 ‘후뇌’로 불리는 뇌 영역의 GLP-1 수용체가 부족해졌을 때는 쥐가
먹이
를 정상적으로 먹는 결과를 보였다. 후뇌의 신경세포 활동이 억제되면 위고비 효과가 차단된다는 의미다. GLP-1 약물 작용 및 식욕 조절에 있어 중요한 부위로 알려진 뇌 영역인 시상하부에서 GLP-1 수용체가 ... ...
"몸집 커진다고 뇌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에너지의 양을 줄여 비행을 위한 에너지 확보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박쥐는 초음파로
먹이
를 탐지한다는 점에서도 뇌를 이용한 감각 사용이 덜 중요한 동물이다. 하지만 비행과 생존 등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뇌 기능이 있다는 점에서 더 이상 줄어들지는 않고 있다. 연구팀은 동물이 뇌 ... ...
"해상 풍력 발전, 상어 생존에 부담 안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지적이 줄곧 제기됐다. 특히 ‘로렌치니’라는 기관을 이용해 미세한 전류를 감지해
먹이
를 찾는 상어의 생존을 위협할 것으로 추정됐다. 해양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인 상어의 건강한 생존은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상어가 해상 풍력 발전이 출력하는 교류나 ... ...
[동물do감] 물고기 임신하면 '머뭇머뭇‘ 망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됐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임신한 물고기가 불확실한 냄새 정보를 바탕으로
먹이
를 찾는 위험을 감수하기보다는 자손 번창을 위한 에너지 보존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임신은 물고기의 뇌 세포 증식에 변화를 일으키고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인간을 ... ...
'하마가 날았다'…달릴 때 0.3초 공중에 뜨는 하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피어제이(PeerJ)'에 공개했다. 하마는 대부분 물에서 생활하지만
먹이
를 찾을 땐 땅으로 나와 활동한다. 사람들은 하마가 땅에서 걸을 때 비슷한 거대 육상동물인 코끼리처럼 왼쪽 뒷발, 왼쪽 앞발, 오른쪽 뒷발, 오른쪽 앞발 순서로 땅을 딛으며 걷는다고 생각했다. 코끼리는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난모세포에 있는 단백질의 수명을 밝혀낸 2건의 연구를 소개했다. 2건의 연구 모두 쥐
먹이
에 포함된 탄소와 질소를 특정 시기에만 동위원소로 바꾸고 이를 추적해 단백질의 나이를 측정했다. 멜리나 슈흐 독일 막스플랑크 다학제 과학연구소 감수분열학과 교수팀은 생식이 활발한 시기인 8주령 ... ...
[동물do감] 동물 사체 먹어 양떼 지키는 거대 도마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결과 연구팀은 히스 고아나란 도마뱀이 유독 쥐의 사체를 빠르게 발견하고 신속하게
먹이
로 섭취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도마뱀들은 양떼에게 피해를 입히는 육식성 구더기까지 먹었다. 연구팀은 "관찰 기관 동안 히스 고아나 도마뱀 1마리는 1000마리에 이르는 육식성 구더기의 번식을 방해했다"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