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형
뉴스
"
땅모양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밀레토스의 그리스식 극장. 위키피디아 제공 칼 세이건의 역작 《코스모스》나 스티븐 와인버그의 《최종이론의 꿈》 같은 교양과학책을 보면 과학 이야기는 항상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마치 우리가 우리 역사를 얘기할 때 단군신화부터 시작하는 것과 비슷하다. 서구 사람들에게 단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북극 전문가이자 생물학자인 이유경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19일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극지 연구는 북극에 영토를 갖지 않은 한국이 관련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송도=윤신영 기자 ‘자주범의귀’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섬에 흔히 자라는 꽃 ... ...
[이강운의 곤충記]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지구의 근심 덜어줄까
2019.06.05
바다거북 콧속 플라스틱 빨대. 유투브(YouTube/Christine Figgener) 캡쳐 플라스틱 쓰레기에 목 졸린 채 발견된 아기 바다사자나 인도네시아 해안에서 죽은 채 발견된 9.5m 고래 뱃속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쏟아져 나온 사진을 보고 충격을 받지 않을 사람은 없다. 거북이 콧속 깊숙이 박혀 있던 플라스틱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탄생의 신비 간직한 '눈사람'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첫 심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지난 1월 1일 촬영한 '울티마 툴레(2014 MU69)'. 사이언스 제공 땅속에서 갓 꺼낸 듯한 큰 감자 두 개를 합친 눈사람 형태의 천체가 허공에 둥둥 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심우주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가 올 ... ...
[주말 고고학 산책]유물 나이를 알아내기
2019.05.18
미국 캘리포니아 동부에 사는 ‘브리슬콘 소나무’는 가장 오래 사는 생명체로, 4850살 먹은 나무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나무의 나이테로 몇 천 년 전의 기후를 알 수 있어 고고학 연구에 도움이 된다. 위키피디아/Rick Goldwaser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는 백제 시대의 절인 왕흥사 절터가 남아있습 ... ...
'동네를 놀이터로'…아이는 놀아야 자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04
경기도 파주 해솔초 운동장에 있는 놀이기구인 해솔꿈터. EUS+건축 제공 한국의 어린이 4명 중 1명은 1주일동안 단 한번도 운동을 하지 않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7 청소년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9~12세 어린이들은 운동이나 야외 신체활동을 일주일에 4시간 정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화성에도 지진...NASA 첫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선 인사이트가 화성 표면에 지진계를 내려놓고 있다. 사진제공 NASA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화성에서 지진을 최초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NASA의 화성탐사선 ‘인사이트’가 지난해 12월 화성 표면에 내려놓은 지진계를 통해서다. 6일 프랑스 국립우주 ... ...
화성에서도 지진 일어난다...첫 지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가 지난해 12월 19일 돔 모양의 지진계를 화성 표면에 내려놓는 모습이다. NASA 제공 화성에서 최초로 지진이 관측됐다. 과학자들은 ‘화성 지진학’이라는 분야가 열렸다며 화성을 이해하는 데 한 발짝 다가갔다고 평가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 ...
"땅 파지마" 자원·암반·CO2저장 연구 전국 곳곳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가동 중단한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포항분지 해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 플랫폼'이 가동을 멈춘 채 서 있다. 정부와 연구진은 2017년 이산화탄소 시험 주입을 마치고 본격적인 연구를 하려고 했으나 2017년 11월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한 뒤 연구를 중단했다. 연합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3억5000만 년 전부터 지구의 주인공으로 살아온 곤충은 사는 곳을 까다롭게 따지지 않는 편이다. 다른 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하고 특별한 기관인 날개 덕분에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천적이 많아지거나 먹이가 부족한 불리한 환경이 되면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과 밀림이 우거진 아마존, 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