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뉴스
"
땅
"(으)로 총 1,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탐사한다. CCS는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땅
속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탐해 3호는 해저 공간에 이산화탄소 저장이 제대로 되는지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후보지를 탐색할 예정이다. 탐해 3호의 데이터 품질은 현역 물리탐사연구선 중 최고다. 뛰어난 스펙 ... ...
[극한호우, 우리]⑤ 한국, 1+1=3이 되는 길 찾아야…반지하 거주민 대책도 필요(끝)
2024.05.31
떠나는 물의 전체 양을 말한다. 빗물을 저장하는(저류) 기능을 갖춘 그린 인프라의 경우
땅
속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을 설치한다. 이 통의 용량만큼 총 유출량이 줄어들게 된다. 총 유출량이 줄어든다는 말은 하수도를 포함한 전체 빗물 처리 인프라가 감당해야 할 빗물의 양이 줄어든다는 말과 ... ...
[극한호우, 우리]④ '녹색 스펀지'가 된 베를린…홍수 방재에 오염수 정화까지
2024.05.30
뛰어논다"면서 "그러나 비가 오면 이곳에 빗물이 50cm까지도 고였다가 수일 내에
땅
으로 흡수된다"고 설명했다. 퓨처리빙도 루멜스부르크 주택단지처럼 독일 기준 100년 빈도 강우인 시간당 50mm의 비를 처리하도록 설계됐다. ● 빗물도 모으면 태산이 될까 베를린의 그린 인프라를 취재하는 내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이 표현을 접하면 그때 생생한 장면이 떠오른다. 공원길을 걷고 있는데 사람 두세 명이
땅
위의 한 지점을 둘러 서 있기에 뭔가 싶어 봤더니 도마뱀이었다. 그런데 이 녀석이 순간 꿈틀하더니 몸의 중간이 뚝 끊어지는 게 아닌가. 작은 뱀처럼 보이는 분리된 꼬리가 좌우로 격렬히 움직이며 ... ...
시간당 100mm 우습게 넘기는 극한호우 시대…최선의 대비책 있나
2024.05.18
내수 침수를 막기 위해 설치한 '아주 큰 하수관'이다. 그보다 더 깊은
땅
속에 설치하는 더 큰 규모의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대심도 빗물터널'이라고 한다. 현재는 서울 양천구의 신월 대심도 빗물터널이 유일하다. 정부 차원에서 전국적인 규모의 치수 사업을 발표한 건 4대강 사업이 마무리된 지 10년 ... ...
여성도 사냥했다?… 고고학 통념 뒤집기
과학동아
l
2024.05.15
서부에서 발견된 '암냐 유적'의 일부. 붉은색으로 강조된 부분이 8000년 전 수렵채집인이
땅
을 파고 거주지를 지었던 자리다. Antiquity/E. Dubovtseva 제공 ● 수렵채집 사회는 농경 사회보다 단순했다? 러시아 서부 시베리아의 광활한 침엽수림 지대. 가장 가까운 대도시인 노보시비르스크에서도 1000km 이상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석연료 없는 미래의 정유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5.11
짓고 여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 터빈을 설치하려면
땅
과 자원 등 막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적으로도 대규모 과학기술 개발을 위한 적절한 정책과 장기적인 지원 및 자금 조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오늘날 값싼 화석 ... ...
[人투더스페이스]⑦ "우주기업 도전 여건 충분…실패 용인 프로그램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데는 사연이 있었다. 김 대표에 따르면 브라질도 원래 자국 위성을 자국 발사체로 자국
땅
에서 발사하는 게 목표였다. 2000년대 초반 사고가 있었고 개발이 중단됐다. 이미 만든 발사장 활용을 위해 전세계 우주기업들을 대상으로 발사 제안을 받았고 제안서를 제출한 이노스페이스가 발사장을 ... ...
드론에 항공기까지 '구름씨' 살포…5년간 인공강우로 산불예방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측은 "산불 진화가 아니라 인공강우를 내리게 함으로써 겨울철에 눈을 많이 쌓아두거나
땅
을 촉촉하게 적셔 산불 예방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대기오염 정화, 가뭄 해결 등이 가능한지 알아본다. 현재 기상학계에서 구름씨 파종 효과에 대해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이 있다. ... ...
한국에서 사과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04
결과를 발표했어요. 사과뿐 아니라 배, 포도, 복숭아의 재배지가 바뀌고 재배할 수 있는
땅
면적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반면 제주에서 자라는 감귤 같은 아열대과일의 재배 지역은 남해안과 강원도 해안까지 넓어질 예정입니다. 새로운 사과 품종을 만드는 방법. 사과연구센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