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뉴스
"
논란
"(으)로 총 2,54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부에 반기 든 의대 교수들…의협, 전공의 참여 회의로 대표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우려가 근거가 없다는 것은 과연 어떤 근거에 기초한 발언인가"라고 밝혔다. 이번
논란
의 시작은 안덕선 의평원 원장의 최근 한 언론 인터뷰다. 안 원장은 인터뷰에서 "(증원된) 비수도권 의대 상당수가 교육·수련 질 저하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의평원은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을 ... ...
"출연연 통폐합 고려 안해…2년 주기 평가는 절대평가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도모하기 위해 NSTL을 도입한다"면서 "NTC 명칭에 센터(center)라는 의미가 들어가 통폐합
논란
이 나왔지만 명확하게 (과기정통부는) 출연연을 물리적으로 구조조정하고 통폐합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2년마다 출연연의 기관운영, 연구사업을 평가할 것"이라며 ... ...
출연연 평가 주기 3년에서 2년으로…공동출입증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정하면 변경되지 않던 인건비 집행계획도 연중에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출연연 통폐합
논란
이 있었던 ‘국가기술연구센터(NTC)’ 대신 국가 임무 중심의 개방형 협력체계인 '국가과학기술연구실(NSTL)'이 도입된다. 26일 과기정통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1회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 ...
최재경 전 원장도 해외로…석학 떠나는 고등과학원 "2년 간 3명 더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년 연장을 거론하기에도 타 대학이나 연구기관과의 형평성
논란
, 청년 과학자들에 대한 지원 축소 등 쉽지 않은 논의들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재경 전 원장은 "2019년 고등과학원에서 퇴임하고 국내에 연구할 곳을 찾지 못해 약 1년간 홍콩중문대, 프랑스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단백질이 삭제되면 흥분성 시냅스의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고재원 교수는 "
논란
이 많았던 MDGA 단백질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며 "신경세포 외의 세포들에서의 MDGA 단백질 기능을 연구 중"이라고 전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인수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이 ... ...
27일 무기한 휴진 '불발'…의협 "국민 불편에 죄송, 의료붕괴 막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당시 이같은 발언이 의료계 내에서도 합의된 내용이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
이 일었다. 이후 의협은 지난 20일 임 회장이 참여하지 않는 범의료계 위원회인 올특위를 출범시키며 조직을 정비했다. 현재 올특위는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회장과 임정혁 ... ...
한화vs항우연 차세대발사체 기술 소유권 갈등 왜?
2024.06.20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전남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항우연 제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와 한국항공우 ...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모두 이미 계약을 했기 때문에 개발은 계속 진행하며서
논란
부분에 대해 원만하게 합의에 이르겠다고 했다. ... ...
아산·성모병원도 휴진 논의…의협 회장 "교도소 무릅쓸 중요한 환자 없어" 발언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정한다.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국민들이 수용하기 어려운 거센 발언으로 또 다시
논란
을 빚고 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앞으로 병의원에 오는 모든 구토 환자에게 어떤 약도 쓰지 말라”며 “교도소에 갈 만큼 위험을 무릅쓸 중요한 환자는 없다”고 말했다. 임 회장이 이처럼 말한 ... ...
명망 있는 과학상 수상자들이 상 명칭 변경 요청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생물물리학’ 분야 권위 있는 상이 명칭 때문에
논란
이 되고 있다. 수십만명을 사망에 이르게 한 마약진통제를 무분별하게 판매한 제약사 오너의 이름이 상의 명칭에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는 생물물리학 분야에 공헌한 과학자에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심해 평가 전문기관'이라는 대통령의 일방적이고 옹색한 주장에 대한 볼썽사나운
논란
이 벌어지고 있다. 결국 액트지오사는 과거 글로벌 석유기업에서 자원 탐사 업무를 담당했던 전문가가 2017년에 창업한 1인 컨설팅 기업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우리 언론과 국민이 낯선 전문가의 역량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