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인
시승
불도장
철인
뉴스
"
낙인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깡마른 아프리카 아이에게 물을 주는 여성
팝뉴스
l
2016.02.17
고문을 당하거나 버림받아 치명적인 고통을 겪는다고 말한다. 그 아이들은 마녀라고
낙인
찍혀 가족들로부터 버림을 받는다. 가족과 희망을 모두 잃은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아냐 링그렌 로벤은 가진 것을 모두 팔고 현지에서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사진 속 아이가 어떤 일을 겪었는지 ... ...
원주 C형 간염 집단 발병 병원, 주사기 이어 일회용 키트 재사용 의혹
동아일보
l
2016.02.15
의원급 의료기관의 특성상 내부 신고자의 신분이 드러날 수 있는 데다가 고발자라는
낙인
이 찍히면 재취업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복지부는 지난해 11월 다나의원 사태 이후 의료인의 면허 취소 근거를 마련하고 면허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지만 아직 최종안을 확정하지 못했다. 의료인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끝난 후, 하버는 암모니아 합성법으로 노벨화학상을 받지만 동시에 독가스전의 전범으로
낙인
이 찍히며 명예와 비난을 동시에 짊어지게 된다. 보슈는 평생을 질소 연구에 바쳤으나, 인류를 이롭게 하기 위한 과학이 정치와 권력 속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도 함께 지켜봐야 했다. 저자는 방대하고 ... ...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 ‘수포자(수학포기자)’라면 여기 한 번…
2015.03.08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며 줄이고 대체해야 할 부정적인 이미지로
낙인
찍혔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탄소의 세기’인 21세기에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탄소를 어떻게 바라봐야 되는지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한다.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손택은 1976년 유방암 진단을 받는다. 투병생활을 하며 손택은 암이라는 질병에 찍힌
낙인
이 환자의 재활 의지를 꺾는 현실을 절감했고 이에 대한 투쟁의 글을 1977년 ‘뉴욕타임스’에 글을 기고했다. 이를 이듬해 책으로 엮어 낸 게 ‘은유로서의 질병’이다. 유방암을 이겨낸 손택은 그러나 1998년 ... ...
[횡설수설/정성희]콜레스테롤의 사면
동아일보
l
2015.02.13
논란에 시달렸다. 설탕보다 당도가 300배나 높고 가격도 저렴한 사카린은 발암물질이란
낙인
이 찍히면서 한동안 기피식품이 되었다. 그러다 사카린 안전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쏟아져 나오며 1993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안전을 공인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사카린을 잘못된 식품규제의 ... ...
[기자의 눈] ‘체면’과 과학 발전을 맞바꾼 대한민국
2014.12.16
제동을 건 것이다. 복잡한 사정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모르지만, 한 번 쪽지예산으로
낙인
찍은 사업을 그대로 통과시키기에는 체면 문제와 직결됐을 것이다. 예산안 제출 기한이 늦어진 점을 두고는 이런 저런 말들이 많다. 우리나라의 첫 번째 달 궤도선 시험발사 목표는 2017년이다. 이 시기가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따로 떼어놓으면 비록 활력은 떨어질지라도 정상적으로 살아간다는 점이다. 조직에서
낙인
이 찍혀 오늘내일하는 삶을 살며 스트레스를 팍팍 받는 사람들은 (경제 측면에서) 삶의 질은 좀 떨어지겠지만 과감하게 벗어나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한다. 우울증 환자는 병 자체가 주는 괴로움 뿐 아니라 ‘정신병 환자’라는 사회적인
낙인
까지 감당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고 말한다. 난치성 질환인 암의 경우 지난 수십 년간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가 진행되면서 원인 규명은 물론 치료법도 많이 발전했다. 반면 우울증의 경우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혼란에 빠뜨리고 저명한 과학자를 몰락시켜 한국 생명기술 발전을 가로막은 배반자로
낙인
찍혔다. 진실에서 이보다 더 멀어질 수는 없다. 황 교수가 대단한 과학자가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1990년대 후반 복제소를 만들었다는 그의 주장은 사진 몇 장과 정치 인맥을 통해 알려진 것이지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