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문
숨구멍
기술자
기술가
기능공
기술공
관상기관
뉴스
"
기공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석유화학 원료로 바꿔주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산화알루미늄의 표면에 ‘증발유도자기결합법’을 써 5~8 나노미터(㎚·10억분의 1m)의
기공
을 규칙적으로 새기는 중형 세공을 했다. 그 결과 고온고압의 반응조건에서도 촉매가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여기에 반응과정에서 많은 양의 물이 만들어져 촉매의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갈륨과 ... ...
홍합에서 얻은 접착물질로 연료전지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폴리도파민을 PTFE에 코팅해 PFSA가 잘 붙도록 한 결과 PFSA가 잘 스며들어 표면의 균열이나
기공
이 크게 줄었다. 막 표면에는 화학적 분해를 막아주는 산화방지제인 세륨(Ce) 성분을 코팅해 내구성도 높였다. 수명실험 후 기존 전해질막(파란색 네모)은 표면 손상도 많고 막의 두께도 줄은 반면 ... ...
미세한 필터에 ‘터널’ 뚫어 단백질 분자 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훨씬 큰 대형 분자를 골라낼 수 있는 필터를 개발하고자,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미세
기공
필터에 큰 구멍을 인위적으로 뚫었다. ‘라디칼’이라는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뛰어난 화학 물질군을 이용해, 마치 다이너마이트로 땅 속 파듯 분리막 소재에 ‘터널’을 낸 것이다. 그 뒤 이 터널 구멍 지름과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5관.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2018.09.21
이런 현상을 ‘옻나무 그림자에 들기만 해도 옻이 오른다’고 표현했는데, 실은 잎의
기공
을 통해 화학 분자들이 내뿜어져 나오는 것이다. 나무 전체가 독 덩어리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데에서 효용이 나온다. 옻나무 수액으로 만든 천연도료인 옻칠을 한 가구는 벌레나 외부 자극에 잘 견뎌 천 ... ...
[과학사진관] 숨바꼭질은 인내심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무엇이 진짜인지 헷갈릴 정도다. 사진은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해 식물조직 중
기공
에 도입한 형광단백질이 발현하는 것(진한 형광색)을 촬영한 것이다. 형광 단백질을 입히지 않았다면 과연 구분할 수 있었을까? 단풍이 진 산을 항공으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선명한 연두색 얼룩이 ... ...
[짬짜면 과학 교실] 스스로 돕는 식물의 생존법
2018.06.02
중에 내보내요. 잎의 뒷면에는 아주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것을 ‘
기공
’이라고 해요. 이
기공
을 통해서 불필요한 물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증산 작용’이라고 해요. 식물은 증산 작용을 통해 스스로 온도 조절을 해요. 식물의 모든 줄기는 껍질에 둘러싸여 있어요. 그 껍질은 줄기를 보호해 주고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뚜렷한 개성 가진 인간의 친구… ‘스타워즈’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이는 SF가 아니라 ‘판타지’로 구분해야 한다. 스타워즈 시리즈를 보면 제다이가
기공
을 쏘아대고, 무한의 인공지능과 독특한 개성을 가진 드로이드가 남자 주인공에게 우스꽝스런 목소리로 투덜투덜 불평을 털어 놓고, 작은 우주선 한 대만 타면 수십만 광년의 거리를 한 달음에 달려간다. 현 ... ...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5.23
관찰하고 수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이미 흙이나 하이드로겔 등 다공성 물질은
기공
에서 수압이 증가하면서 물을 빨아들인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셀룰로오스는 물과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김 교수는 “전기 대신 주변 환경이 갖고 있는 ... ...
북한 6차 핵실험, 예상보다 폭발 컸다...일주일 뒤 지반 50cm 가라앉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컸다. 최대 209~304kt으로, 수십~100kt 정도로 예상한 기존 추정치보다 컸다. 주변 암반이
기공
이 많은 화강암일 경우는 최대 약 8%까지 폭발 위력이 더 클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위성 영상을 이용한 새 기법이 지하 핵실험 감시와 분석에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식물체 내에 다량으로 만들어지는 호르몬이다. 잎의
기공
이 닫히게 하는 역할을 해 식물 내 수분을 유지시킨다. 실제 휴면 중인 식물의 눈이나 알뿌리, 종자 등에 아브시스산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겨울이 되고 식물이 빛에 노출되는 낮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