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계적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기계적에너지
"(으)로 총 1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UNIST, 생체친화 재료 이용해 암 세포 죽이는 광감각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UNIST 화학과의 민승태 교수(앞줄 맨왼쪽)와 권태혁 교수(앞줄 가운데) 연구팀이 생체 친화 재료인 폴리글리세롤을 사용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광감각제를 개발했다.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권태혁, 민승규 교수팀이 친수성 생분해 고분자인 폴리글리세롤을 기반으로 한 광감 ... ...
버려지는 코코넛 껍질, 전기 수확하는 소자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김회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와 마니샤 사후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코코넙 껍질 섬유가 압력을 받으면 전기를 만드는 압전 특성을 활용해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원료로 활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DGIST 제공 버려지는 코코넛 껍질에서 전기 에너지를 수확하 ... ...
[과학게시판]에너지연 개발한 연료전지 핵심부품 기술이전으로 국내서 대량생산 시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팀이 탄소복합체 분리판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24일 정두환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이 확보한 발전용·건물용 연료전지 분리판 제조 원천기술의 기술이전과 에너지연의 산업연계형, 성공 ... ...
암세포 주변에서만 모양 바꿔 침투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암세포 주변에서만 움직임을 만들어 세포막을 뚫고 침투해 세포를 죽이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암세포 주변에서만 움직임을 만들어 세포막을 뚫고 침투해 세포를 죽이는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정영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
"구체성과 철학 부족한 인재정책, 과학 근거한 기후·에너지 정책 아쉽다"
2022.03.09
연합뉴스 제공 제20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날이 마침내 왔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의 단일화를 위해 사퇴한 가운데 주요 대선 후보들은 한 표를 모으기 위해 마지막까지 바쁜 유세 일정을 보냈다. 하지만 선거 일정 막바지에 들어서면서 상대 후보에 대한 비판 수위가 올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 전공 교수와 최경현 에너지공학 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춘구 제공 박치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 쌓여있다. 이달 5일 대구 달성군 현풍면 DGIST 연구 ... ...
[과학게시판] KISTI, 삼성디스플레이와 중소기업 도울 소재 특성예측 플랫폼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삼성디스플레이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의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효율화를 지원하기 위한 나노소재 특성 예측 플랫폼 ‘Sync-OLED’를 개발해 7일 공개했다. 소재 기업 연구자면 누구나 KISTI와 삼성디스플레 ... ...
반도체 소재 내 엑시톤 입자 손실 없이 조절하는 기술 최초 개발
연합뉴스
l
2022.02.07
UNIST 박경덕 교수팀 연구…나노 반도체·광통신 소자 개발에 응용 기대 탐침증강 광발광 나노 현미경을 이용해 엑시톤 거동을 관찰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연구팀이 엑시톤(exciton) 입자를 손실 없이 ... ...
[한 토막 과학상식]차세대 반도체서 전자 대신할 ‘엑시톤’ 조절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탐침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스케일의 엑시톤 거동을 관찰하고 있는 것을 묘사한 그림. UNIST 제공. 삼성전자를 포함한 국내 연구진이 더 빠르게 작동하고 열이 발생하지 않는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입자인 ‘엑시톤’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차세대 반도체 개발과 ... ...
한 번 충전하면 800km 달리는 전기차용 전고체 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1.13
왼쪽부터 이승우 교수, 김범준 교수, 한정훈 연구원, 이승훈 연구원. KAIST 제공. 한번 충전으로 800km가지 주행 가능한 전기차 구현이 기대되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개발됐다. 신축성이 있는 고체 전해질로 전고체 배터리를 구현한 것이다. KAIST는 김범준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승우 미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