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력
권세
권위
힘
권리
권한
위세
뉴스
"
권력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철학 없는 기초과학의 몰락
2019.10.11
집중되는 곳에는 반드시 견제장치가 필요한 이유다. 우리는 현재 한국 검찰에게서 그
권력
집중의 부패학을 공부하고 있다. IBS에는 철학이 없다. 굳이 그 곳에 철학에 이름을 붙히자면, ‘한국식 관료주의 과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 듯하다. IBS에서 연구단장보다 입김이 센 사람들은 과기부 ... ...
조국 장관 딸 문제로 얼룩진 과기부 출연연 국정감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다녀왔는데도 인턴으로 인정했다”며 “이런데도 상징물에 이름까지 넣어주는 것이
권력
층 자녀, 조국 딸이 아니면 가능한 일이냐"고 따졌다. 야당의원들은 조형물에 들어있는 조 장관 딸의 이름을 빼라며 이병권 KIST 원장을 압박했다. 박대출 의원은 “이미 확인된 허위사실만으로도 조 장관 ... ...
"조 장관 딸 이름 빼" "그 이름만 뺄 수 없어" KIST 조형물 두고 여야 의원들 '설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다녀왔는데도 인턴으로 인정했다”며 “이런데도 상징물에 이름까지 넣어주는 것이
권력
층 자녀, 조국 딸이 아니면 가능한 일이냐"고 따졌다. 김경진 무소속 의원은 “3일 혹은 5일간 스쳐간 인턴이고 증명서도 허위인데 그런 사람 이름이 조형물에 있는 게 부끄럽지 않나”고 비판했다 ... ...
과방위 국감 의원들 "KIST조형물에 조 장관 딸 이름 새긴 것 부끄럽지 않냐"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다녀왔는데도 인턴으로 인정했다”며 “이런데도 상징물에 이름까지 넣어주는 것이
권력
층 자녀, 조국 딸이 아니면 가능한 일이냐"고 따졌다.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은 “과학기술연구의 산실인 KIST가 입시 부정을 위한 가짜 스펙쌓기용 위조공장으로 전락해 버린 데 대한 책임을 통감해야 ... ...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원전 드론 출몰 등 이슈 쏟아진 원안위 국감(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무소속 의원은 “원안위나 한수원을 질책할 것 아니고 대통령과 정부, 국회 등 정치
권력
이 풀어야 할 문제이지만 실무행정집행기관에서는 문제가 있다고 주기적으로 아우성을 쳐야만 한다”고 지적했다. 한수원이 최근 월성원전에 사용후핵연료 임시 저장시설인 ‘맥스터’ 증축을 위한 ... ...
日오염수·수출규제 R&D현안 수두룩한데…'조국'만 보는 과기정통부 국감
2019.10.02
됐지만 주소를 알려주지 않아서 통지서가 송달되지 않았다고 한다"며 "조국 일가의
권력
형 게이트가 드러난 가운데 여야가 합의한 증인이 불출석하는 것은 사실상 증거 인멸 시도"라고 말했다.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은 "고의적인 회피 및 지연과 관련해 증인 2명에 대해 동행 명령이든 즉각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2019.09.25
과학계가 논문심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편집자나 연구비 심사에서 절대적인
권력
을 지닌 위원장에게 내재적 연관검사를 필수적으로 수행하는데 합의할 수 있을까? 공정한 사회로 가는 길은 언제나 비탈이다. 그리고 과학계 역시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끊임 없이 차별을 없애야 할 의무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투명인간'의 슬픔
2019.09.14
비슷한 큰
권력
이다. 누군가를 벌하기 위해 일부러 무시하는 행위 역시 이러한
권력
을 행사하고 확인하는 한 가지 수단이 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반드시 언어적 비언어적 폭력과 괴롭힘이 동반되지 않아도 없는 사람 취급 당하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은 자존감과 통제감, 나아가 삶의 의미감까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부당한 명령이나 가혹행위 등이 다수였다. 노동권을 존중하지 않고 나이가 곧
권력
이 되고 군복무가 의무인 한국 사회의 특성상 나타날 수밖에 없는 피해들이다. 문제는 이런 억울함을 올바른 방법을 통해 해소하지 못했을 때, ‘세상에서 내가 제일 억울하고 힘들게 살았고 남들은 몰라도 나는 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등 의견이 분분하다. 강력한 절대
권력
이 후계 준비 없이 갑자기 사라지면 치열한
권력
다툼을 피할 길이 없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도 그랬다. 대왕의 왕국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셀레우코스 왕조, 안티고노스 왕조 등으로 분열되었다. 이중에서 가장 유명한 왕조는 역시 프톨레마이오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