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범위
구획
지방
영역
지대
구내
뉴스
"
구역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기피 행동을 매개하는 뇌의 영역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시상하부의 배쪽안쪽시각교차앞
구역
(VMPO)에 자리한 뉴런 무리가 병원체 감염을 알리는 면역 신호를 받아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조율하는 관제센터였다. 제3뇌실(3V)에 접한 시상하부 표면에 분포한 띠뇌실막세포(tanycyte. 빨간색)는 ... ...
파리올림픽에서 활약할 수직이착륙기, 상용화 조건은
과학동아
l
2024.07.27
'닥터헬기'가 오가는 노선이다. 파리 경찰청으로부터별도로 허가를 받으면 비행 금지
구역
인 파리 도심 상공에서도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UAM 산업이 성장기에 들어서면 도심 교통환승센터 등의 거점 지역에 대규모 버티포트가 만들어질 것이다. 버티포트와 다른 교통 체계와의 연계성을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규제 자유
구역
특구로 지정하고 산업용 헴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규제자유
구역
의 특권은 거기까지였다. 만들어둔 CBD 추출물을 팔 수도 다른 의약품 연구로 발전시킬 수도 없었다. 김 교수는 "한국의 고농도 CBD 추출기술은 해외 어느 곳보다도 높은 수준"이라며 "해외에서 CBD 추출물을 ... ...
독수리 사라지니 50만명 사망, 무슨 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연간 700억 달러(약 97조원) 수준이었다. 연구팀은 독수리 서식지 지도와 인도 행정
구역
지도를 겹쳐 600개 이상 지역의 건강기록을 살폈다. 그 결과 과거에는 독수리 개체수가 많았지만 현재는 크게 줄어든 지역에서는 인구 사망률이 2000~2005년 연간 약 10만4386명의 추가 사망자가 발생할 정도로 ... ...
[사이언스게시판] 국제생물올림피아드서 한국 금2·은2 기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청동기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 과학기술의 역사를 주제별, 연대기별로 7개
구역
으로 구분해 전시한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자격루, 옥루, 홍대용 혼천시계와 작동 체험품이 있다. 전시관 곳곳에서 15세기를 선도한 한국 과학기술을 관람할 수 있고 인터랙티브 체험, 미디어아트 콘텐츠 등 첨단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지진파 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공극압 수치가 높은
구역
은 지하 약 25km에서 10km 지점으로 경도는 137.3도에서 점차 137.1도 방향으로 이동했습니다. 이는 2024년 1월 노토 반도에서 발생한 큰 지진의 진원 위치와 거의 일치했죠. 연구팀은 "2020년 말부터 시작된 ... ...
한국서 리튬 개발 잠재성 확인…"생산 연계는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개발까지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울진 광상은 기준 이상이지만 일대가 금강송 보호
구역
으로 매장량 확인을 위한 시추 작업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단양은 최저 품위 기준에 미달이지만 매장량에 따라 개발이 가능할 수도 있다. 지질연은 "외국 기업이 단양 광상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 ...
국내 리튬 광상 첫 종합 조사…"개발은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이상이지만 매장량 확인이 어렵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울진 광상 일대는 금강송 보호
구역
으로 산림청과 소통한 결과 매장량 확인을 위한 시추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단양 광상은 현재까지 나온 조사 결과로는 최저 품위 기준에 못 미치지만 매장량에 따라 개발이 가능할 ... ...
다이어트약 부작용 '메스꺼움' 없앨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작용 부위라는 점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뇌의 하위 영역인 ‘맨아래
구역
(AP)’과 ‘고립핵(NTS)‘ 2곳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그 결과 AP 신경세포가 작동하도록 뒀을 때는 쥐들이 위고비 투약 후 메스꺼움과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보였고 NTS 신경세포를 작동시켰을 땐 메스꺼움은 ... ...
'1시간 145mm' 극한호우 뿌린 장맛비 '주춤'…다음주 다시 정체전선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전국에 넓게 비구름대가 퍼지지 않고 '남북으로 얇고 동서로 긴' 띠 형태의 강수
구역
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저기압이 서쪽에서 접근하며 정체전선을 북쪽으로 끌어올리고 동쪽으로 빠져나갈 때 남쪽으로 누르며 이같은 형태의 비구름대가 나타났다. 남쪽에 북태평양고기압이 버티는 가운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