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빨
이
tooth
어린이과학동아
"
치아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디컬 현장탐방 왔어요! 기자님들이 반갑게 맞아주셔서 좋았어요. 의학박물관에서 의학의 역
포스팅
l
20140724
메디컬 현장탐방 왔어요! 기자님들이 반갑게 맞아주셔서 좋았어요. 의학박물관에서 의학의 역사를 알게 됐고 그 역사를 개척해 주신분께 감사하고요
치아
박물관도 신기~^^ 지석영 센터서 존 의사 많이 나오기를 바라요 음...1박2일 팟팅 ...
지금 서울에서 딸기스무디 먹고 있는데
치아
가 너무 흔들려서 잘 먹지를 못하겠어요!
포스팅
l
20140503
지금 서울에서 딸기스무디 먹고 있는데
치아
가 너무 흔들려서 잘 먹지를 못하겠어요!ㅠㅠ흑흑~~! ...
지켜라!
치아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913
“으아앙~. 어떡해. 엄마 몰래 치킨을 우적우적 뜯어 먹다가 그만 이빨이 빠져버렸어. 이빨이 몽땅 썩으려나봐!”이봐, 나는 이빨이 아니라
치아
라고 불러야 해. 그리고 빠질 때가 되어서 빠진 거거든? 나에 대해서 잘 모르는구나? 그렇다면 우리 함께
치아
나라로 가 보자! ...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31
직접 해 볼 수는 없으니 컴퓨터 인간에게 실험해 봐야겠다. 먼저 조건을 입력하고 자, 똘똘한 철아, 어떻게 되겠니? 엥? 1년이 지나니까
치아
도 나빠지고 위에 염증이 많이 생기네. 게다가 몸은 점점 뚱뚱해지고 피부는 꺼칠해지고, 이거 안 되겠는데. 새 약이 나오거나 어떤 음식이 해로운지 이로운지 알기 위해서는 인간에 대해 실험을 해 봐야 된다.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13
250만 년 전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살았어요. 연구 결과 이들의
치아
는 풀이나 고기보다는 단단하고 질긴 것을 씹기에 알맞았어요. 또
치아
의 탄소 성분은 식물뿌리를 즐겨 먹는 아프리카 쥐 화석과 비슷했어요. 먹이가 같았다는 뜻이죠. 애클 박사는 “원시인류는 현대인도 즐겨 먹는 고구마와 토란 같은 구근류를 씹어 먹었다”며 “이들은 땅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유럽으로 퍼졌다는 기존 가설을 뒤집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어요. 중국 베이징 부근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6개의
치아
가 붙어 있는 인류의 턱뼈예요. 중국과 미국 과학자들이 화석을 조사한 결과 4만 년 전 인류의 턱뼈로 밝혀졌어요. 이 화석은 대부분 현재 인간과 비슷하지만 일부는 유라시아 대륙에 살았던 고생 인류(인류의 조상)의 특징 ...
건강한 이로 미소천사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9
만들어요. 마치 갈갈이처럼요. 이 때는 손가락이 들어간 채로 얼굴 형태가 자리를 잡기 때문에 얼굴도 길어지지요. 원시인의 얼굴은
치아
때문이다? 진화 과정에서 이의 발달은 얼굴의 형태에도 영향을 주었다. 원시인은 지금과 달리 주로 날고기와 같은 거친 음식을 먹고 살았기 때문에 턱뼈에 가해지는 힘이 지금보다 훨씬 컸을 것이다. 이 힘은 윗니를 통 ...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 Ⅳ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9
빈 공간에 있는 기체가 팽창하면 통증을 일으킬 수도 있지요. 대장이나 위에서 팽창한 가스는 방귀나 트림을 통해 배출하면 되지만,
치아
는 그럴 수 없어요. 그러니까 우주인이 되려면 충치도 없어야 하지요. 높은 곳에 올라가 공기가 희박해 지면 판단력이 떨어져요. 우주인 후보들은 낮은 기압상태에서 구구단 쓰기 시험을 봤어요. 아무리 쉬운 구구단이라도 ...
콧물질질~고름찍찍~눈물의 일본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28
무사히 눈과 코를 치료받은 썰렁홈즈. 내친 김에 치과도 가 보기로 했다. 치과 이름은‘이아나파’치과. 진찰을 받기 위해 먼저
치아
X선 사진을 찍었다. 그런데 그만 간호사가 실수로 X선 사진을 바닥에 떨어뜨려 사진이 모두 섞였다. 진료를 제대로 받기위해서는 썰렁홈즈의 X선 사진을 찾아야 한다. 썰렁홈즈의 이 모양을 잘 비교해 보고 정확한 X선 ...
나를 닮은 로봇 vs 로봇을 닮은 나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14
넣지 않아도 기계의 힘을 빌려 신체 기능을 향상시킨다면 넓은 의미의 사이보그라고 할 수 있다. 시력을 교정하는 안경이나 약한
치아
를 대신하는 틀니, 움직이는 동안에도 다른 사람과 통화하게 해 주는 휴대전화는 모두 인간이 기계의 힘을 빌린 경우다. 최첨단 컴퓨터를 입고 다니는 기술도 등장했다. 머리띠는 mp3, 귀고리는 헤드셋, 안경은 카메라의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