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어린이과학동아
"
수증기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목성 얼음달 '유로파' 탐사 추진
기사
l
20140305
뚫고 200㎞ 높이의 거대
수증기
기둥이 치솟는 현상이 관찰됐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탐사선이 유로파에 착륙하지 않고 이
수증기
기둥을 뚫고 비행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바닷물 성분을 분석해 생명체 유무를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출처: ... ...
개구리도 액화를 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930
차가운 콜라를 냉장고에서 꺼내 놓으면, 잠시 후 콜라병에 물방울이 송글송글 맺히는 걸 볼 수 있어요. 차가운 콜라병 근처에 있던
수증기
가 응축돼 액체인 물방울로 변하는 액화가 일어나기 때문이지요. 호주 열대 초원에 액화 현상을 이용하는 초록청개구리가 있어요. 호주 열대 초원은 겨울에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초록청개 구리가 살아남기 힘들어요. ...
제5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3
기다리는 모습 같아요. 더덕 꽃의 암술머리를 17배 확대한 모습이랍니다. {tIMG_c10} 빙화 바이오과학상/일반부/최기주 공기 중의
수증기
가 얼면서 아주 작은 얼음꽃을 만들었어요. 아주 작은 얼음 결정을 백금 이온으로 코팅한 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2500배 확대한 모습이에요. [소제시작]사랑은 어디에나~[소제끝] 생명이 있는 곳에는 항상 사 ...
파리 잡기는 어려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910
옐로우스톤? [소제끝] 미국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국립공원인 옐로우스톤. 옐로우스톤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뜨거운 물과
수증기
를 뿜는 온천인 ‘간헐천’이 300여 개나 있어 더욱 유명하지요. 온천이 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옐로우스톤은 화산의 열점 위에 자리하고 있어요. 60만 년 전쯤 이 열점 위에서 거대한 화산이 폭발했지요. 미국 콜로 ...
찬 바닷물로 적조 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29
비행하면서 찍은 것으로, 호랑이 줄무늬처럼 보이는 좁고 긴 협곡이 잘 드러나 있어요.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땅 속에 있던 따뜻한
수증기
가 제트처럼 분출하며 깊이가 300m에 이르는 이 협곡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답니다. [소제시작]뇌로 움직이는 로봇! [소제끝] 로봇은 목적에 맞는 움직임을 하도록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입니다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13
c15} {BIMG_c16} 수직농장 개념도 {BIMG_c13} 1 각 층의 천장에 설치된 ‘ERS’라는 장치를 이용해 식물의 잎이나 수경재배용 물에서 증발된
수증기
를 모은 뒤 사람이 사용한다. 만약 50층 이상의 수직농장이라면 하루 평균 62만ℓ의 물을 얻을 수 있다. 2 펌프를 이용해 물을 끌어올려 각 층에 물을 공급한다. 3 대도시의 하수 ...
악어는 알 속에서부터 대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31
작물을 안전하게 키울 수 있는 데다 병충해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요. 또한 초고층 빌딩에서 자라는 작물들이 내놓는
수증기
를 모으면 사람이 먹을 물도 얻을 수 있답니다. 환경과 식량 문제에 도움이 될 첨단 빌딩이 반갑습니다. [소제시작]화성엔 물이 흐른다 [소제끝] 과학자들은 오래 전 화성에는 물이 흘렀을 거라고 생각하고 끊임없이 그 흔적을 ...
뻘뻘~ 비석이 땀을 흘린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14
공기 중의
수증기
가 이렇게 찬 음료수 병을 만나면 병 표면에 물방울로 맺히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차가운 표충비에 공기 중의
수증기
가 응결되어 물방울로 흐르는 게 바로 표충비의 땀이죠.” “엥? 물방울이라고?” “예. 이 표충비는 휘록암으로 만들어졌어요. 이런 어두운 색의 암석에는 철이나 마그네슘 같은 원소가 많아 쉽게 온도가 내려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12
태풍은 주로 남·북위 5°이상의 따뜻한 공기가
수증기
의 응결로 인해 나오는 열을 받아 생긴다. 그래서 태풍이 땅 위로 올라오면
수증기
공급이 끊겨 힘이 약해지면서 결국 사라진다. 태풍 역시 발생 시점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지진과 달리 움직이는 방향을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여유 있게 대처할 수 ...
에너지 왕국 구출 대작전(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530
내리쬐는 곳에 거대한 거울처럼 생긴 태양 추적 반사경을 설치해 태양열을 모아요. 이렇게 얻은 열로 물을 데워
수증기
를 얻고, 이
수증기
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만들어요. 또 접시처럼 생긴 소규모의 집광 집열기로 태양열을 모아 전기를 만들 수도 있죠. 번쩍번쩍 태양광 태양열에 이어 동생 태양광도 만만치 않은 후보죠. 눈부신 태양빛으로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