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과학"(으)로 총 21,06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5 지구사랑탐사대 13기 여름캠프 - 지리산생태탐방원기사 l20250806
- '지구사랑탐사대'는 자연을 사랑하는 지사탐 대원들이 함께 생물종 탐사하고, 생태학자연구원님들의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시민과학프로젝트입니다. 이번 캠프는 < 생태복원 지리산! 우리가 지킬 생명 > 이라는 주제로 지구사랑탐사대 13기 여름캠프를 시작하였습니다. 지금부터 무더위만큼 탐사 열기로 뜨거웠던 13기 여름캠프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지상국 안에는 여러 의자들이 있는데 이 의자에 앉아 있는 각각 개발자에게는 전문 분야가 하나씩 있습니다. 지상국의 오른쪽 벽에는 과학기술위성 2호가 찍은 사진들이 저장되어 있었습니다. 아주 오래전 위성이 찍은 사진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니 신기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세 곳의 실험실을 연달아 보았습니다. 자세제어실험실은 위성이 우주로 나갔을 때 자 ...
- 저의 학원 (?)포스팅 l20250804
- 저는 수학 2개, 영어 2개를 합니다...ㅜㅜ그리고 역사, 국어, 과학, 화학, 발명, 탁구를 배워요...수학 특강을 꼭 들어야 할까요???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달랐던 것 같습니다. 인공위성에 대해 정말 재미난 이야기를 많이 듣고 왔는데, 연구원님께서 말씀을 너무 재미나게 해주셨습니다. 과학은 재미있는 분께서 설명해 주시면 더욱 재미있어지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인공위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더 잘 알 수 있게 된 것 같아 유익한 하루였습니다. 이상, 우주기자단 김래오 기자의 KAIST 인공위성연구소 탐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발사가 두 번 다 실패해서 우주로 올라가진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로호 3차 발사 때 급하게 위성을 만들어 올렸는데 이위성이 나로과학위성이고, 우리나라 발사체로 올라간 최초의 인공위성 입니다. 출처: 위키백과 지상국은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곳으로, 영화에 자주 등장합니다. 자기 자리마다 담당이 있는데, 큰 화면의 글씨 중 자신의 것만 본다고 ...
- 우주복에 숨은 과학 원리기사 l20250731
- 어과수기자 정다흰기자 입니다. 오늘은 우주복애 숨은 과학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주 탐사에서 우주복은 '1인용 지구' 로 불릴 만큼, 극한의 환경을 가진 진공 상태의 우주에서 우주인니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우주복 내부는 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데, 만약 우주복 없이 우주에 노출되면 외부 압력이 거의 0에 ...
- 도둑을 잡아라포스팅 l20250730
- 제가 어린이과학동아하고 다른 잡지를 구독해서 보고있는데, 피아노학원을 가는 길에 우편함을 봐보니, 잡지 두 권 모두 배송이 되어있었어요. 근데, 피아노 학원이 끝나고 가져가려고, 끝나고 보니까 누가 가져갔더라고요.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 오랜만에 그림 (+취향릭 한분 받음)포스팅 l20250728
- ai의 완벽한 지배 속에서 살아가야했다. 이 이야기는 지명수배가 걸려버리곤 자신의 피조물에게 가족마저 다 무너져버린 천재 과학자, 소행성 B-612에 숨어있는 권유하와 의식이 남아있는 몇몇 사람들의 ai 장미를 향한 복수극이다. 이런 느낌... 디스토피아에 에이스테같은 느낌 써보고 시펏어여 작년 똑같은 캐.. 취향맄은 자캐만 받아여 잊어 ...
- (기사콘 챌린지) 우울한 나의 기분을 털어내는 나만의 방법 6가지 대공개!기사 l20250727
- )라고 말을 해주어서 저는 아주 반가운 이야기였습니다! 그래서 학교에 책을 들고가 학교 친구들에게 보여줬더니 항상 우기던 친구도 과학동아를 읽는 친구라 아주 빠르게 인정을 해주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우울한 기분을 털어내는 방법은 총 6가지입니다 -멍하니 누어서 천장을 보기 (그러면 잠이 오거나 아무 생각이 않들어요)-어과동 맨 처음 받은 책부터 ...
- 코오롱의 에너지 놀이터, 김천 에코 롱롱 큐브! 그리고 송하율 연구위원님 강연기사 l20250727
- 곱한 것)m 라는 어마어마한 수치입니다. 연구위원님이 이런 수치로 우주를 설명하시는 이유는 '크다'라는 표현은 애매한 표현이여서 과학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시기 때문입니다. 또, 나이는 138억 살 입니다. 평균온도는 -270도 입니다.허블 딥 필드 /출처: 나무위키다음은 천체 망원경, 허블과 제임스 웹 입니다. 허블은 세계 최초 우주망원경 으로,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