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터뷰
취재
면담
면접
회담
인터뷰우
기자회견
d라이브러리
"
회견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어 또한번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일을 낸’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기자
회견
이 열렸기 때문.황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얻어냈다. 이를 질환 부위에 이식하면 건강한 세포로 자라나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개발하자고 제안했다.4월초 방한한 윌머트 박사는 6일 오후 서울대 수의과대에서 기자
회견
을 갖고 “황 교수가 개발한 인간배아 줄기세포 복제 기술과 나의 아이디어를 합해 현재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루게릭병 치료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루게릭병은 운동신경이 죽고 근육이 퇴화하는 ... ...
"배아복제 연구 재개" 황우석 교수팀 美서 공식선언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황 교수는 10월 13일 UN본부에서 기자
회견
을 갖고 “불치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인간배아 줄기세포 복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UN에서는 최근 각국 대표들이 인간 배아복제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과 치료목적의 복제를 허용하는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국제사회의 의혹을 풀고자 12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내외신 기자
회견
을 갖고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우라늄 분리실험과 플루토늄 추출실험에 대해 외신이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의혹을 제기한데 유감스럽다”면서 재차 “일부 과학자들의 실험이었을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러플린, KAIST 총장 취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것 유진 부총장의 소개로 KAIST 교수들과 간단히 인사를 마친 러플린 박사는 곧 기자
회견
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연구중심대학의 본질은 어디나 동일하다”고 밝히면서 “(자신이 몸담았던) 미 스탠퍼드대와 KAIST의 상황은 다르지만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속성은 같다”는 말로 총장직에 임하는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배제시킨 채, 이론 연구팀과만 자신의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결국 벨연구소에서 공식기자
회견
이 있기까지 트랜지스터 연구는 두팀에서 각각 진행된 셈이다. 이 과정에 세사람 사이에 패인 골은 깊었지만, 1956년 이들은 노벨상 공동수상자로 나란히 자리할 수밖에 없었다 ... ...
세드나, 행성여부 뜨거운 논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번 발견을 주도한 미항공우주국(NASA)과 캘리포니아공대 천문학자들은 지난 16일 기자
회견
에서 “이 천체는 1930년 명왕성이 발견된 이래 가장 큰 것이지만 지름 2천3백60km인 명왕성의 4분의 3 크기”라며 “진짜 행성은 아니고 행성과 소행성 사이인 미행성(planetoid)이라고 부르고 싶다”고 말했다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교수 연구팀은 한국시간으로 지난 2월 13일 오전 4시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된 특별기자
회견
에서 여성의 난자에 성인의 체세포 핵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배아를 복제해냈으며, 이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얻어내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황 교수는 “이제까지 인간배아를 복제해낸 경우는 있으나 복제한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인간복제 의도는 전혀 없다”고 수차례 밝힌 황 교수 자신이 2월 18일 귀국기자
회견
에서 향후 1년간 배아 복제 연구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만 봐도 문제의 심각성을 읽을 수 있다.배아를 파괴해야만 하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 자체에 대한 도덕성 논쟁도 여전하다. 아무튼 21세기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를 세워 바이러스 DNA를 합성해냈다. 그는 지난해 11월 자신의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기자
회견
장에서 “자신이 만든 박테리오파지는 인체에 무해한 것이며 자신의 목적은 생물테러에 이용될 바이러스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문제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클린 미생물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