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상"(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확인할 수 없어 해빙 분포를 통계적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지금은 아리랑 5호에 탑재된 해상도 1m급의 영상레이더로 소규모 해빙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인공위성은 영구동토층도 관측할 수 있다. 여름에도 녹지 않고 1년 내내 얼어있는 영구동토층이 기후변화로 최근 녹고 있다. 아리랑 5호의 ... ...
- [과학뉴스] 실가닥 뿜어내는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온도가 태양 표면의 온도보다 높은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2018년 5월 미국에서 발사된 ‘고해상도 코로나 이미저(Hi-C)’가 찍은 거예요. Hi-C 우주망원경은 지상 약 100km인 준궤도에서 5분간 태양을 촬영하고 돌아왔지요.지금까지 태양을 찍은 사진들은 화질이 낮아 태양의 대기 모습을 정확히 알기 ...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불이 들어와 환상적인 광경을 뽐내기 때문이죠. 광안대교는 우리나라 최대의 복층 해상 다리로, 가운데 900m가 현수교인 독특한 구조라는 점에서도 꼭 한 번은 봐야 하는 다리랍니다. 현수교 케이블의 곡선은 현수선?다리 이름이 현수교인 이유는 케이블이 그리는 곡선과 관련이 있어요. 밀도가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인공위성이 지표면을 가로세로 격자로 나눠 촬영할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30cm인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목표다.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위성활용부장은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앞으로 극지를 더욱 촘촘하게 관측할 수 있을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는 대신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반면 아리랑 5호의 영상레이더는 365일 24시간 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했다. 떨어져 나온 빙붕 조각은 ‘빙산 C33’이라고 명명됐다. 현재 빙산에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 수신기를 설치해 센티미터(cm) 단위로 이동을 기록 중이다. 아리랑 5호는 서울시 면적의 1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칸(픽셀)의 길이가 수~수십km라는 뜻이다.반면 아리랑 5호로 제작하는 해빙 지도는 공간 해상도가 수십m 수준으로 매우 정밀하다. 다만 지금은 아리랑 5호를 활용한 해빙 지도 제작을 막 시작한 단계여서 아라온호에 정기적으로 제작해 배포하지는 않고 있다. 앞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으로 ...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이번에 퍼시비어런스에는 왓슨(WATSON)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탑재된다. 왓슨은 픽셀당 13μm 해상도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왓슨으로 퍼시비어런스의 ‘셀피’도 찍을 예정이다.소설 속의 셜록 홈즈와 존 왓슨이 함께 미스터리를 풀어가듯이, 퍼시비어런스의 셜록과 왓슨은 화성에서 생명체가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그리스 서사시인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전설의 인물인데, 매우 아름다운 목소리로 해상 절벽 근처를 지나는 선원을 유인해 배를 난파했다. 이처럼 ‘회’ 시리즈는 그리스 신화를 주제로 세계관을 확장해, 6년차 가수로서 고민하는 여자친구의 이야기를 새롭게 표현한 듯하다. 전작 수록곡 ...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데이터를 복원합니다. 이진수 형태로 배열한 영상 정보를 함수로 계산하면 다양한 해상도에서 영상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웨이블릿 함수가 일종의 현미경 역할을 하는 거죠. 거기서 잡음 정보만 제거하면 깨끗한 영상으로 만들 수 있어요. 웨이블릿 함수란 다양한 신호가 섞여 있는 그래프에서 ... ...
- [한페이지 뉴스] 뭉크의 ‘절규’ , 보존 방법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배 밝은 X선을 쪼여 물질의 구조 등을 파악했다. 이 방법은 작품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해상도 높은 정밀 분석이 가능하다. 분석 결과 흐린 하늘과 강, 다리 난간, 인물의 목 부분 등 작품 곳곳에선 노랗게 칠해진 부분이 희미하게 변색된 것이 확인됐다. 뭉크는 노란색을 표현하기 위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