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시간"(으)로 총 1,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전율은 가장 순수한 절망이다.케이(K)는 이전에 이 감각을 겪어보았다. 그래서 방금 느낀 게 전율임을 이해한다.첫 전율은 스승이 의뢰받아 만든 기계화 의체(인공몸)를 보았을 때 느꼈다. 그녀의 스승인 제이(J)는 먼 과거의 인형 만드는 기술을 계승한 인형사였다. 인간과 유사한 모조품을 만드는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제 박사과정 지도교수인 마크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연산의 한계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연구를 합니다. 그런 연구를 토대로 2014 서울 ICM에서 초청강연자로 초대 받았고, 2016년에는 전산학 분야에서 성과를 낸 만 35세 이하 수학자에게 주는 ‘프레스버거상’과 ...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반도체학과가 정치·교육·과학·산업의 무대 한가운데 섰다. 반도체학과를 증원하겠다는 정부의 발표 때문이다. 교육부는 6월 12일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을) 수도권 4100명, 비수도권 3900명 정도 증원할 방침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총 8000명 수준이다. 아직 정확한 규모나 증원 시점은 결정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10년 만에 사라진 ‘게임 셧다운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안녕! 난 디지털 바른생활을 연구하는 잼랩의 슈슈야!새벽까지 잠도 안 자고 게임에 푹 빠진 키키를 어쩌면 좋지? 아…! 일리 마녀님께 도움을 요청해 봐야겠어! 논란의 중심, 게임 셧다운제가 폐지됐다! 게임 좋아하는 친구들 많을 거예요. 게임은 공부로 지친 마음을 충전해 주고, 게임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이 되고 싶었다.수학이 바로 그런 표현의 방법이란 걸 배웠다.”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이 자라 2022년 필즈메달을 수상했다.한국계 수학자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겸한국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의 이야기다. 2022년 7월 5일(현지시간) ...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래도 다 참고 이해해 보려고 했어. 그런데 딱 그때 그 영감탱이가 하는 말이…!』홀로그램 형태인 주 여사의 목소리가 높아졌다.“그만.”『응, 또 봐.』홀로그램이 꺼지며 주 여사의 모습이 사라지자 민연애는 검지로 관자놀이를 눌렀다.“저놈의 할망구는 죽어서도 할아범 욕밖에 할 말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게임으로 슬기롭게 공부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안녕~! 난 디지털 바른생활을 연구하는 잼랩의 슈슈야! 신나게 게임 한 판 해 볼까나~? 응? 오늘 할 공부 다 했냐고? 이제는 공부도 게임처럼 하는 게 대세라고! 게임은 공부의 적? 게임은 공부의 친구! “게임 좀 그만해!”“게임이 어때서요? 치이, 내 맘도 몰라주고!”여러분의 이야기 같나 ... ...
- [특집] 마지막 관문 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당신은 ‘우가리트어와 선형문자B’를 해독한 AI를 골랐습니다. 원리를 파악한 뒤 고대 비문을 해독하세요. _ 인터뷰“해독은 정보가 거의 없는 채로 도전하는 번역이에요” 안녕하세요. 현재 구글 번역기의 기계 번역 모형을 만들고 있는 지아밍 루오입니다. MIT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내던 ... ...
- [특집] 문명 아이템 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문자를 해독했던 여러 AI의 특징을 살펴보고, 고대 비문을 해독하기에 어떤 AI가 좋을지 골라 보세요! 승정원일기누가 중앙대학교 AI영상학과, 스타트업 스캐터랩, KAIST AI대학원어떻게 번역이 완료된 조선왕조실록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 승정원일기를 예상보다 수십 년 빨리 해독했다. 일본 ... ...
- [엣지사이언스] 인공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실제 사람은 몇 명일까요? 정답은 ‘0명’입니다. 모두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그럴듯하게 만들어낸 가짜 얼굴입니다. 딥러닝 등 AI 기술을 활용하면 세상에 없는 사람의 모습은 물론, 목소리와 행동까지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 합성데이터가 만드는 AI의 세계를 소개합니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