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그래핀을 만들었고, 단일 층 그래핀의 물리적 특성을 밝혀냈다. 그들의 논문은 2004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실리자마자 재료물리학계에서 가장 중요한 논문으로 떠올랐다. 이 논문은 그래핀이라는 재료의 신기원을 열었다. 그래핀은 독특했다. 금속이 아니면서 전기가 통하고, 강철보다 수백 ... ...
[황금 소년의 비밀] 미라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0호
화려하고 거대한 관 안에 미라가 보여요! 수천년 전 고대 이집트의 고위 귀족입니다.미라에는 어떤 한 사람의 일생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사가 담겨 있어요.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학자들은 미라가 품은 비밀을 더욱 많이 알아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지에서도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수학동아
l
2023년 10호
영입했습니다. 덕분에 1911년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로부터 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
지인 를 인수할 정도로 명성을 얻지요. 또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기금을 모금했고, 1925년에는 미국 내 대학교 수학과 상위 5위에 들 만큼 뛰어난 연구 성과를 냅니다. 현재 프린스턴대는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10호
미적분을 연구한 기록은 1674년부터 남아있지만, 1684년에 미적분에 대한 공식적인
학술
발표를 합니다. 그래서 우선권 논쟁이 벌어지게 된 것이지요. 두 번째 의문 : 라이프니츠는 뉴턴의 미적분을 표절했다? 비슷한 시기에 같은 개념에 관한 아이디어가 함께 무르익을 때가 많은데요. 뉴턴과 ... ...
[과학뉴스]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가 유해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검출됐다. 벨기에 앤트워프대 생물학과의 티모 그로펜 연구원팀이 지난 8월 24일 국제
학술
지 ‘푸드 애디팁스 앤 컨태미넌츠(식품첨가물과 오염물)’에 발표한 연구 결과다. doi: 10.1080/19440049.2023.2240908 PFAS는 탄소로 된 뼈대에 불소 원자가 여러 개 연결된 유기 불소 화합물을 묶어 이르는 말이다.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이 연구가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이 연구를 쓸모없는 연구라고 평했습니다. 좋은
학술
지에 싣지도 못했던 비주류 연구였습니다. 또 라디오파를 만드는 장치를 처음으로 만든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발견에 대해 “전혀 쓸모없는 장난감 같은 것”이라고 한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잘 맞는 편입니다. 추후에 인류의 역사를 정보처리와 지식생성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는
학술
적인 작업을 하고 싶은 바람도 있습니다. 끝으로 독자 여러분 중 학생이 계시다면 과학을 전공하며 미래를 설계할 때 과거의 제가 그랬듯 지나친 환상이나 긍정적 인식 속에서 과학자의 정체성을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실학의 유파인 ‘북학파’를 형성했다. 그리고 청나라의
학술
과 문물을 받아들여 조선의 낙후된 현실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홍대용은 북학파의 선구자로 조선의 선비가 중국의 선비들과 학문적인간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모범을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
수학동아
l
2023년 10호
그와 대화할 기회가 많이 있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학자의 역할은 본인의 연구와
학술
활동을 통해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과 변화를 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타오 교수는 본인의 시간을 어떻게 활용해야 이 세상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하며 활동한다는 사실을 이번 대화를 통해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23년 10호
대학원은 수리과학과로 들어갑니다. 당시 KAIST에서 암호학을 공부한 선배들이 세계적인
학술
지에 실리는 논문을 내면서, 실용적인 연구를 하고 싶어 하는 수학 전공자에게 암호학이 인기가 많았답니다. 강 상무도 이 중 하나였지요. 강 상무는 대학원 시절 암호 알고리듬의 취약점을 찾아내는 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