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냠냠! 어수잼] 우리 집이 날아갔어! 다정이의 사라진 정다각집3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찾을 거예요. 누군가 아침 일찍 생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걸 봤대요. 노란 치즈들이 하늘에서 뚝 떨어졌다고 기뻐하더라나요. 흠, 혹시 우리 집 지붕의 노란 타일을 치즈로 착각한 건 아닐까요? 우리 집 지붕 타일은 세 변의 길이와 세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삼각형인 정삼각형이에요. 생쥐들이 ... ...
- [화보] 우주를 헤집는 해파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22년 11월 강원 인제에서 담은 오리온자리다. 오리온자리는 매우 밝고 찾기 쉬워서 겨울 밤하늘의 왕자라고도 불린다. 작가는 오리온자리 안에 바너드 성운, 오리온 대성운 등 세밀한 아름다움이 있다고 말한다. 이를 담기 위해 풀프레임 카메라와 고배율 렌즈를 사용했고, 4패널로 나눠 모자이크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뛰었다 착지해본 사람은 안다.중력을 거스르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까만 밤하늘을 올려다본 사람은 안다.미지의 세계로 나가는 것이 얼마나 매력적인 일인지를.그래서 우주 탐사와 연구는 동경과 소망을 안고실패를 거듭하는 도전이다.한국 우주 탐사를 이끄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민간 ... ...
- [숫자로 보는 뉴스] 화성에 곰돌이가 산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자세히 관측하고 탐험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요. MRO가 화성으로부터 약 251km 떨어진 하늘 위에서 귀여운 곰돌이의 얼굴처럼 생긴 지형(땅의 생긴 형태)을 촬영한 거예요. 곰돌이의 얼굴에서 가장 긴 부분의 길이는 무려 2000m나 되지요.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연구진이 사진을 분석한 결과, 화성에 ... ...
-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천체(M30)를 놓치면서 총 108개를 관측했다. 이 회장은 “행사 이래 처음으로 밤새도록 하늘이 맑아서 다들 많은 천체를 찾을 수 있었다”며 기뻐했다. 1등의 영예를 안은 김씨는 “하룻밤 동안 100개가 넘는 천체를 본 것은 처음이었고, 다양한 천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며 대회 참여 ... ...
- 과학동아천문대화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하늘을 바라보세요. 밝은 두 천체가 매우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일 거예요. 이들은 밤하늘에서 달을 제외하고 손에 꼽을 정도로 밝은 천체들인 금성과 목성이랍니다. 금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뜨거운 행성, 목성은 태양계에서 위성이 가장 많은 행성이죠. 태양계 행성들은 거의 같은 평면에서 태양 ...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무렵, 오후 3시 20분. 느닷없이 휴대전화 알람이 울렸다. 김 작가는 하던 말을 바로 멈추고 하늘을 향해 두 팔을 쫙 뻗었다. “아멘!” 그렇게 10분 후에 또 ‘띠리리리, 띠리리리’ 알람 소리가 났다. Q. 하하, 알람이 자꾸 울리네요.A. 제가 일어나고, 산책하고, 샤워하고 이걸 알람으로 설정해 ... ...
- [뉴스&인터뷰] 드릴처럼 땅속 파고든다, 씨앗 심어주는 종자 운반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씨앗이 땅 속에 잘 자리잡도록 돕는다. 다만, 실험 결과 쥐손이풀 씨앗은 드론을 이용해 하늘에서 뿌릴 경우 발아율이 0%였다. 대부분 지면에 나란하게 착지해 발아할 수 없는 각도였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팀은 최적의 각도와 굴착력을 얻을 수 있도록 가장 적합한 나무조각 곡률과 나무소재 강도를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더듬어갈 뿐이다. 우리 은하의 이웃인 안드로메다 은하에 누군가 살고 있다면 그들의 하늘에 비친 우리 은하의 모습은 어떨지 궁금하다. 지웅배 고양이와 우주를 사랑한다. 은하들이 사랑을 나누고 상호작용하는 세계를 연구한다. 우주를 가이드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은하철도 999 차장을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장비로, 관측 장비의 측정 각도를 3600분의 1도까지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2024년 남극 하늘에는 망원경을 매단 또 하나의 고고도 풍선이 떠오를 예정이다. NASA JPL에서 개발을 담당한 ‘ASTHROS(Astrophysics Stratospheric Telescope for High Spectral Resolution Observa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