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식
대식
음식물
배부름
약탈
포획
탈취
d라이브러리
"
포식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실렸다. doi: 10.1080/15548627.2016.1215382 식욕조절의 ‘숨은 조연’ 띠뇌실막세
포식
욕조절의 ‘주연’은 단연 신경세포다. 식욕을 억제하거나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신경세포는 일찍이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런 신경세포들이 상호작용하며 최종적으로 식욕이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하려면 뇌의 80%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발생한 조직에 들어가면 대식세포로 분화해 성장하고 그 조직에 정착한다.이때 일부는
포식
작용과 림프구 활성을 돕는 수지상세포로도 분화한다.다른 세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한때 소식세포로도 불린 호중구처럼 대식세포는 세포를 먹어 치워 선천 면역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9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면역의 역할을 규명한 파울 에를리히와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에게 돌아갔다. 두 연구자의 연구 분야는 달랐다. 에를리히는 디프테리아의 혈청 치료법을 완성했다. 디프테리아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 발생한다. 혈청 치료법은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동시에 후천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지상세포는
포식
작용을 하는 중 항원의 일부를 떼어다가 그 특징을 간직한 단백질(후에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명명됐다)을 자신의 막 표면에 발현시키는 능력이 있다. T림프구나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 표면에 ... ...
Chapter 05. 노벨상┃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발견하다 ○ 항체 알아낸 수상자들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 면역세포 탐구한 수상자들198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현상인데, 단식과 같이 영양 공급이 제한되는 경우 생존을 위해 세포들이 스스로 자가
포식
을 수행한다. 이처럼 인체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이를 ‘항상성’이라 일컫는다), 급격히 살을 빼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면 흔히 ‘요요 현상’으로 불리는 결과와 같이 원상태로 복구되고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아냐” 미세플라스틱이 동물성 플랑크톤부터 어류, 사람까지 먹이사슬에 따라 상위
포식
자로 갈수록 그 농도가 증가하는 생물농축확대(biomagnification) 현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를 밝혀줄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 연구는 임상시험 등에서 제한이 많아 현재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과 새 공룡 종(種) ‘저승사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젤레니츠스키 공룡학자는 “우리는 이 종이 서식했을 당시 가장 크고 힘이 센 최상위
포식
자일 것으로 본다”면서 “학명은 ‘저승사자’라는 뜻을 담아 ‘타나토테리스테스 데그루토룸’(Thanatotheristes degrootorum)이라고 지었다”고 말했어요. 이 때문에 그리스 신화 속 죽음의 신인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셈이다. 원 센터장은 “여우는 생태계 중간
포식
자로 동식물의 개체 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해 복원가치가 매우 큰 만큼 여우 복원에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며 “여우가 보고 싶을 때는 언제든 중부센터 여우생태관찰관으로 오면 된다”고 말했다. ... ...
잠들면 뇌에서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자는 걸까요? 자는 동안에는 식량을 구할 수도 없고, 외부에서 오는 감각이 차단되니
포식
자가 다가오는 것도 몰라 위험에 빠지기 쉽죠. 그래서 지금까지 인간이 왜 잠을 자는지 이유를 설명하는 수많은 가설이 나왔어요.그런데 최근 신경과학의 발달로 잠든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활동이 밝혀지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