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지사탐 대원들, 사진 작가 데뷔?! 자연사박물관 사진전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모습을 발견하고 사진을 찍었다”며, “난생 처음 보는 장면을 놓치지 않기 위해 카메라 셔터를 여러 번 눌러 마침내 원하는 사진을 담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어요. 가온별팀 김가온 대원은 “첫 탐사에서 왜가리를 만나 사진으로 찍었다”며, “풀숲에 숨어 있는 왜가리가 보일 듯 말 듯 하다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직접 인공지능 프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디지털 리터러시가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명 마스크를 한 사람은 카메라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사람의 목숨이 달린 의료, 군사 영역에서 인공지능의 확률만 믿다가 무고한 사람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죠. 양날의 검과 같은 인공지능, 어떻게 다루면 좋을지 함께 고민하는 ... ...
- [과학 뉴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찍은 해왕성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쉽지 않지요.이번에 제임스 웹 망원경은 0.6~5㎛(마이크로미터)의 근적외선을 감지하는 카메라로 해왕성을 촬영했습니다. 그 결과 해왕성 고리의 전체 모습이 처음으로 촬영되었습니다. 해왕성 내부의 모습도 새롭게 드러났습니다. 근적외선으로 촬영했기 때문에 특유의 푸른색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천 원을 받고 배달해 주거든요. 뉴비는 뉴빌리티라는 기업에서 개발한 로봇이에요. 카메라로 길을 인식하고, 바퀴로 이동하지요. 이 영상에서는 제작진들이 뉴비가 편의점 음식 배달 임무를 받고 배달하는 과정을 관찰해 봤어요. 과연 뉴비는 무사히 배달을 해낼 수 있을까요? 추천! 동아사이언스 ... ...
- [꿀꺽! 수학 한 입] 인생샷 건져볼까? 윤서의 셀프 사진 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사진을 찍을 땐 하얀 색처럼 밝은 색깔의 상의를 입는 걸 추천해요. 포토존 안에서 카메라 플래시가 터질 때 밝은색 상의가 그 빛을 반사해 우리 얼굴을 더 환하게 비춰주거든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에선 똥손도 예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한국어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앱에 접속하면 아래에 카메라 아이콘이 보일 거예요. 이 카메라를 클릭하면, 이용자가 직접 사진을 찍거나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가 등장해요.이중 ‘아트 프로젝터’의 증강현실을 이용해, 여러분의 방에서 전 세계 미술관에 있는 예술 작품을 ... ...
- [특집] 63년 만에 돌아온 새,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둥지를 찾고, 뿔제비갈매기를 관찰하기 위한 무인 카메라를 설치했어요. Q무인 카메라를 설치한 효과가 있었나요?그럼요. 뿔제비갈매기의 번식 과정을 알 수 있었죠. 2016년에 발견된 이후 육산도 일대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어요. 처음 관찰된 뿔제비갈매기는 5마리였지만, 지금은 수가 늘어나 ... ...
- [가상 인터뷰] 에취! 해면이 재채기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재채기를 한다니! 어떻게 알아냈죠? 연구팀은 아플리시나 아르케리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해 해면의 작은 구멍들인 소공이 수축하며 점액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어요. 마치 사람이 재채기를 하면 콧물이 나오는 것처럼요. 해면은 원래 구멍을 통해 물을 흡수한 뒤 유기물●을 추출해 ... ...
- [그래프 뉴스] 사람 대신 풍덩~ 바닷속 1km 잠수하는 로봇 등장!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있어요. 수압★을 100배 더 잘 견디는 소재로 만들어 물속 깊은 곳도 탐사할 수 있지요. 3D 카메라도 새롭게 부착돼 바닷속에 있는 물체를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됐어요. 물밖에서 오션원케이를 조종하는 사람은 오션원케이가 만지는 물체의 윤곽이나 물의 움직임을 함께 느낄 수 있어요. ... ...
- [특집] 달나라 개척자의 필수품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아이리스 페르난데스 연구원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8년에 보낸 LRO 관측선의 카메라가 촬영한 기존 달 표면 사진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알아보는 방법을 발표했어요. 원래는 LRO 관측선의 고도계가 레이저를 쏘아 고도를 쟀지만 고도계의 데이터 해상도가 좋지 않았어요. 고도 데이터가 60m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