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가위
가배절
중추절
중추
추석절
팔월대보름
팔월한가위
d라이브러리
"
추석
"(으)로 총 1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향가는 길엔 뭐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보름달 보기 싫어~!예상대로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가족들을 만나 매우 기뻐했다. 올
추석
에는 보지 못 할 거라고 실망했는데, 뜻밖에 만나게 되서 더욱 기뻐했다. 할머니는 가족을 만나게 해 준 썰렁홈즈를 위해 맛있는 저녁을 준비했다. 운전으로 허기진 썰렁홈즈는 허겁지겁 먹어댔다. 결과는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싫어해동양 사람들은 보름달을 좋아합니다. 풍요와 완성의 상징이라고 생각하여
추석
, 정월대보름 같은 명절까지 즐기지요. 서양은 반대입니다. 중세 서양 사람들의 세계관은 밤은 악마가 지배하는 세상이었는데 보름달은 밤의 기운이 충만할 때 뜬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보름달이 뜨면 나쁜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근거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발해 닻 인양 작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지난해 9월
추석
무렵 필자는 라트니코프 씨를 포함한 몇 명의 러시아 해양학자들과 함께 후루겔므 섬으로 향했다. 발해 닻을 인양하기 위해서였다. 길이는 183cm, 무게는 400kg모든 일정은 계획대로 진행됐고 여러 차례 조사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억에 남는 일은 없나요?월동 생활을 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지만, 무엇보다도 지난
추석
전날 세종기지 부근에서 발생한 아르헨티나 월동대원들의 조난사고가 가슴을 아프게 합니다. 크레바스에 빠져 두 명의 아르헨티나 월동대원이 숨지는 사고였지요. 당시 세종기지에서는 구조대를 보냈지만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원래 우리나라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화투에 나오는 보름달은 음력 8월, 즉
추석
의 보름달에 해당됩니다. 학이 소나무와 함께 나오는 화투도 있지요? 마치 어른들이 연말연시에 보내는 연하장 모습과 비슷하답니다. 음력 1월을 나타내는 화투기 때문이지요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만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까지 밝혀 내지 못했어요. 하지만
추석
에 친척들과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달맞이를 가고, 보름달에 소원을 비는 것만으로도 보름달은 우리에게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틀림없겠죠?소원을 들어 주는 동양의 달보름달이 둥실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보면 검은 부분이 있는데 정말로 토끼와 절구처럼 보입니다. 아직도 못 본 사람은 이번
추석
보름달이 떴을 때 꼭 확인하기 바랍니다. 동산에 보름달이 걸려 있을 때에는 토끼가 달의 왼쪽에 앉아 있다는 사실에 주의하세요. 검은 부분은‘바다’라고 불립니다만 실제로 물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 ...
반달을 닮은 똑똑한 떡, 송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밝은 보름달은 왠지 가슴을 더욱 뿌듯하게 만듭니다.
추석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추석
음식이에요. 그 중에서도 할머니께서 만들어 주시는 맛있는 송편은 단연 으뜸이랍니다. 송편은 쌀가루로 반죽하고 그 속에 깨나 콩을 넣고 빚은 떡이에요. 송편이라는 이름은 떡을 찔 때 솔잎을 깔기 ... ...
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비가 올 확률이 높은 것이죠. 옛말이 정말 틀린 게 없지요? 이제 며칠 후면
추석
이에요.
추석
은 한가위 또는 중추절이라고도 부르는 음력 8월 15일인 보름이지요. 휘영청 밝은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어 보는 건 어떨까요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조선 숙종 때의 기록에 의하면 경주에 있는 석빙고의 경우 겨울에 얼려 둔 얼음을
추석
까지 사용했다고 한다. 석빙고에서 가장 신비롭게 여겨지고 있는 것은 냉각 기술로 보통 땅 속의 돌은 겨울철에는 10~15℃를 유지하는데, 석빙고의 돌 벽은 0~5℃까지 내려간다. 여름철에는 더운 공기가 위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