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부기관
정실
청바지
bluejean
블루진
청진
d라이브러리
"
청
"(으)로 총 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전문가 서정화 선생님과 도시에서 우리 새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장난으로 넣은 돌에 집 잃은 새
청
딱따구리가 번식하려고 뚫은 구멍이에요. 그런데
청
딱따구리가 알을 품던 2011년 어느 날, 누군가가 구멍에 돌을 넣어 모두 죽고 말았어요. 이 사실을 안 서정화 선생님은 구멍에 손이 들어가는 어린이의 도움을 받아 돌을 많이 꺼냈답니다. 덕분에 지난해 박새가 ... ...
동물을 조종하는 키워드는 ‘본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싶은 방향의 반대쪽에 계속 가상현실 벽을 만드는 방법으로 곡선 길을 따라
청
거북을 보내는 데 성공했지요.생명체 조종은 인간이 갈 수 없는 장소에서 동물이 사람 역할을 대신하게 하는 방법이에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전기 자극을 이용한 기존 방법과 달리 동물에게 해를 적게 끼치기 때문에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표범의 출현도 늘어났다(사냥을 하러가서 만나게 됐다).이후 중원을 완전히 장악한
청
이 표피 공물을 감면하고(1711년), 조선 역시 호속목(호랑이를 잡아주는 대가로 면포나 쌀 등을 징수하는 제도)을 폐기하면서 (1728년) 호피와 표피의 강제 조달을 중단했다. 하지만 이미 늦어서 18세기 후반에는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편집이 조금 일어났다고 해서 중심원리를 정면으로 부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청
교수의 논문은 이 현상이 다양한 형태로 매우 많이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다.기존에 알려진 두 종류의 변이 외에 열 종류의 다른 변이가 추가로 발견됐다.이는 유전자를 이루는 4개의 염기가 모두 각기 다른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설사를 일으키게 된다고. 그러니 스코빌 척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은 피하는 편이 좋아.
청
양고추만해도 5,000SHU 정도로 소화기에 부담이 되지 않지.고추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새가 고추를 먹고 고추의 씨를 북아메리카 지역까지 퍼뜨렸다. 여러 탐험가들이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운행의 주기에 따라 달이나 날짜, 시간을 묶는 방법이다.강희제 황제(1654~1722)는 중국
청
나라 4대 황제로, 예수회 선교사들로부터 서양의 학문과 기술을 도입해 문화를 발전시켰다.가상 인터뷰 수학 문제 풀기 열풍을 주도한 장쩌민과거에 중국 수학을 일으킨 왕으로 강희제가 있다면 현재는 누가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은 백과사전 형식의 수학·과학서다. 황윤석은 정6품에 해당하는 하급관직에 머물렀지만,
청
나라를 통해 들어오는 백과사전식 책에 심취하여 수학·과학 연구에 매진했다. 그 결과를 에 담았다.총 23권 이루어진 에는 과 〈황극경세성음해> 등 언어학을 다룬 책이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손가락을 튕길 때 쓰는 말이고, 찰나는 지극히 짧은 시간, 허공은 모양과 빛이 없는 상태,
청
정은 죄가 없이 깨끗하다는 의미다.태반은 절반을 뜻하는 말이 아니다?!조선시대에는 분수를 일컫는 말도 있었다. 현재도 많이 쓰는 말 중에 태반은 절반을 훨씬 웃돌 때 사용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2/3를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모습.][병자호란을 배경으로 만든 영화 ‘최종병기 활’에서 우리나라를 침공해 오는
청
나라 군대의 모습. 당시 동아시아는 기온이 내려가는 소빙기에 들어가면서 농사가 잘 되지 않아 전쟁과 내부 갈등이 많았다.]소빙기현상으로과열된사화와 당쟁나의 외계충격 현상에 관한 연구는 전적으로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상수인지 아닌지에 대한 조사 중 최초의 시도는 1970년대 이뤄졌다. 당시 프랑스 원자력
청
과학자들이 아프리카 가봉의 오클로 우라늄 광산에서 캐낸 시료가 오늘날의 우라늄 시료와는 동위원소의 비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20억 년 전인 선캄브리아 시대에 이곳에 천연원자로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