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채 짧게 요약했을 뿐이라 영상을 제대로 본 것은 아니에요. 달콤한 사탕을 한번 맛보면 채소 같은 음식은 먹고 싶지 않죠? 그러나 우리 몸이 튼튼해지기 위해서는 사탕보다 몸에 좋은 음식들을 골고루 먹어야 하는 것처럼, 정신이 튼튼해지기 위해서는 숏폼뿐만 아니라 유익한 미디어를 골고루 보고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모두가 죽었다고 생각하여, 죽었는데 왜 썩거나 눈감지 않는가는 고민하지도 않은 채 여기저기서 추모 행렬이 끊이질 않았다. 그 가운데서 제니는 지팡이를 쥐고 서서 영감을 노려보았다.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그러길 3개월이 지났을 무렵, 제니는 영감의 눈동자가 미묘하게 움직이는 것을 ... ...
- [가상 인터뷰] 블랙홀, 암흑에너지로 우주를 팽창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관측으로 확인한 첫 사례야. 하지만 블랙홀이 우주의 73%를 이루는 암흑에너지를 가진 채 어떻게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지. 과학자들은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어 ...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발사된다. 그리고 지구 궤도에 있던 당신의 우주선과 도킹해 연료와 산화제를 가득 채워준다. 이제 몸도 마음도, 연료통도 든든하게 화성으로 향할 일만 남았다. 2050년 당신이 화성까지 가는 여정은 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갔던 길과 닮았다. 2020년 7월 30일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등 다양한 목적의 공간이 마련돼있다. 4명의 지원자들은 마스 듄 알파에서 1년간 고립된 채로 살아가야 한다. 다행히 심심할 틈은 없다. NASA는 “거주지는 가능한 화성과 유사한 환경으로 구성된다”며 “자원제한, 고립, 장비고장, 중대한 작업 부하와 같은 환경적 스트레스도 여기 포함된다”고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용해돼 있는 액체 마그마가 빠른 속도로 냉각될 때, 기체들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채 갇혀버린 것이다. 마그마가 아주 높은 압력에서 천천히 식을 경우 기체들은 기포를 만들지 못한다. 또 마그마가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 아주 천천히 식어도 뚜껑을 딴 후 오래 내버려 둔 사이다처럼 기포는 ...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않았다면, 우리는 독침을 쏘는 곤충에 관해서, 그리고 우리 자신에 관해서 더 무지한 채로 세상을 살아야 했을 것이다. 곤충의 고통에 관한 새로운 과학을 열어젖힌 슈미트는 올해 2월 18일, 향년 75세를 마지막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산인 슈미트 독침 통증지수는 여전히 독침 연구자들의 길잡이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것 같았다. 수잔은 어쩔 줄 몰라 했다.“화났어?”수잔은 차마 핍과 눈을 마주치지 못한 채 고개를 푹 숙이고 있었다. 핍을 구하기 위한 행동이었지만, 동시에 핍이 그것을 찾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도 알았다. 핍은 그런 수잔을 지그시 바라보다 와락 안아버렸다. 당황한 수잔이 뭐라 말하기도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약을 드시고는 ‘나는 평생 머릿속이 오리무중처럼 뿌옇게 정리정돈이 안 된 채로 살았는데, 약을 쓰면서 안개가 걷혔다’면서 ‘머릿속이 개운할 수 있다는 걸 왜 내가 몰랐나’라고 하셨죠. 이렇게 ADHD 치료제를 먹고 나서 더 나은 삶을 살게 된 케이스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야말로 ADHD치료제로 ... ...
- [영화 속 SF]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영화 속 개조생명체들은 실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단순히 과학적 목적만을 달성하기 위해 과학자로서의 윤리, 도덕성이 결여된 채 실험하는 과학자를 말합니다. 현실에서도 매드 사이언티스트로 불렸던 과학자가 있습니다. 2018년 ‘유전자 편집 아기’를 탄생시킨 허젠쿠이 전 중국 남방과학기술대 교수입니다. 그는 ‘크리스퍼(CRISPR)-캐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