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작"(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장만은 잽싸게 둑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지형에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인공위성을 조작해 빛의 정체를 확인해봤다.우주선 한 대가 다온 행성을 향해 날아오고 있었다. 추진 방식으로 보건대 지구 기술을 사용하는 기체였다. 만에 하나 지구산 인공지능이 조종하는 우주선이라면 둑은 완성할 수 ...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바이오해킹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DNA를 원하는 대로 조작하는 행위나 기술이에요. 그래서 전문 기관에 속하지 않은 시민과학자들도 바이오해킹으로 생명과학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거예요. 최근 생물시스템을 주문제작하는 플랫폼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고요. 생물학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 설계의 필수 조건, NPC를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첫 번째 NPC를 만들어라!NPC(non-player character)는 플레이어가 조작할 수 없는 캐릭터를 말해요. NPC에 커맨드를 설정해 NPC가 플레이어와 상호작용하도록 만들어 봐요. ➊ 마인크래프트의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NPC는 명령어를 통해서만 소환할 수 있어요. 채팅창에 명령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청량한 콜라로 톡 쏘는 실험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그러자 대장균은 대사 활동을 통해 이 먹이를 색소로 바꿨지요.연구팀은 미생물을 조작해 무지개 색소의 생산 효율을 높였어요. 원래 미생물은 색소를 만든 뒤, 세포 밖으로 배출하지 않고 세포 안에 쌓아둬요. 그래서 색소 보관량에 한계가 있었어요. 하지만 연구팀은 세포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거래를 도와주는 사람이 필요 없어, 거래 수수료가 사라지고, 자산과 관련된 문서의 조작이 어려워지는 장점이 있지요. 또, 현재 부동산이나, 고가의 미술품 등 수십억을 넘는 자산은 개인 혼자 소유하기 쉽지 않아요. 여러 명이 이러한 자산 소유권을 나눠 갖거나 거래하는 ‘토큰화’에 ... ...
- [특집] 암호화폐 은행을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장부(블록) 복사본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떤 한 사람이 몰래 내용을 수정하려고 해도 조작이 불가능해요. 하나의 장부를 바꾼다 해도 모두 똑같은 장부를 갖고 있어 한 글자라도 수정하면 금세 가짜로 들통나 버리거든요.원화나 달러 같은 기존의 화폐는 장부(블록)를 관리하는 총무(중앙은행)가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본질이 훼손돼요. 또. 총무 수는 그대로 둬도 채굴할 때 수학 문제가 쉬워지면, 장부를 조작할 수 있는 문제점(보안성)도 있지요,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김형중 교수는 “세상에 다양한 암호화폐가 존재해도, 완벽한 암호화폐는 없다”며, “어떤 것이 중요한지 각자의 우선순위를 어디에 ... ...
-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과정도 소개해요! NPC를 만들어라!NPC(non-player character)는 게임 용어로, 플레이어가 조작할 수 없는 캐릭터를 말해요. 게임 속에서 NPC는 게임 진행을 위해 플레이어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죠. 마인크래프트의 베드락 에디션에서 NPC는 이름을 갖고 대사를 전달할 수 있어요. 또한 NPC에게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수 있도록 설계했다. 연구팀의 김규연 STC 학생연구원은 “사용자가 수동, 자동으로 모두 조작할 수 있으며 일정 온도가 넘어가면 저절로 차단하게 돼 안전성을 갖췄다”고 설명했다.임 센터장은 “금속 와이어는 한 곳이 끊어지면 발열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면서 “현재 이런 단점을 보완하는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장갑끼면 가능해! 2014년 엘리엇 호크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기계공학과 생체모방조작연구소 연구원은 ‘게코도마뱀’의 발바닥을 그대로 모방한 특수 장갑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게코도마뱀의 발바닥 주름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어요. 그러자 발바닥 주름마다 눈에 보이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