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의"(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알이 부화하고 새끼가 태어나지요. 작가는 이 사진을 얻기 위해 진흙 위에 엎드려 수백 장의 사진을 찍었답니다. 올빼미가 빼꼼히 | 이 사진은 10세 이하 어린이가 찍은 올빼미 사진이에요. 아버지와 함께 차를 타고 가던 중 올빼미가 파이프 안으로 날아드는 것을 발견하고 급하게 아버지의 ...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짓기 위해 보호구역 중 3%인 78.3ha(헥타르, 1ha=1만m2)가 해제됐어요. 활강경기장의 조건은 표고차(출발지점과 결승지점 고도차) 800m, 평균 경사도 17°, 슬로프 연장 길이 3km 이상이에요. 강원도 내에서 이 조건을 갖춘 곳은 가리왕산뿐이었지요. 전북 무주에 이 조건을 만족하는 리조트 경기장이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속아 넘어가겠죠? 비타민 C의 나이는 몇 살? | 나무의 나이테처럼 보이는 세 장의 사진은 모두 같은 비타민 C 결정을 찍은 겁니다. 빛을 어떻게 비추냐에 따라 같은 결정도 다른 느낌으로 나타나지요? ● 신맛 구연산이 뽐내는 화려한 색채 레몬이나 귤, 오렌지, 라임 같은 과일을 생각하면 어떤 ...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장은 딱딱하고 움푹 파인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이 반복된단 사실을 알아냈지. 연구팀은 장의 딱딱한 부분에서는 똥의 평평한 면이 만들어지고, 부드러운 부분에서는 모서리가 만들어진다고 추측했단다. 연구팀은 이렇게 완성된 네모난 똥이 딱딱하기 때문에 항문을 통과하면서도 모양이 바뀌지 ... ...
- 배설물에서 DNA를 찾아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똥은 장에서 만들어져 이를 통과해 항문으로 나오기 때문에, 똥 바깥쪽에는사향노루 장의 상피세포가 묻어 있어요. 똥의 안쪽은 대부분 초식동물인 사향노루가 먹은 풀들이지요. 그래서 똥의 겉면을 깎아내어 가루를 모으면 DNA를 얻을 수 있답니다. 여기서 얻은 DNA는 직접 혈액을 뽑았을 때처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앞으로 가기’ 종이카드를 일일이 밀키에게 입력해야 해요. 그런데 이 모두를 한 장의 함수카드에 저장하면 함수카드 하나만으로 연속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답니다. 조건코딩으로 코딩펫을 태양에서 멈추게 하라!밀키 앞에 태양계 지도가 펼쳐져 있어요. 파란 지구를 떠난 밀키가 까만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 마리가 날마다 수면으로 올라와 공기를 들이마시며 부레의 부력을 조절합니다. 양식장의 수면에는 카메라가 장착돼 있는데, 이 카메라가 개별 연어의 얼굴을 인식합니다. 세르막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놀랍게도 개별 연어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연어마다 독특한 점의 ... ...
- [과학뉴스] 화면에 자동으로 소리 입히는 프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초당 수십 장의 그림을 촬영한 뒤 성우의 목소리, 효과음 등의 소리를 덧입혀야 비로소 한 장면이 완성된다. 그런데 최근 영상만 있다면 소리가 저절로 만들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됐다.더그 제임스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사물의 움직임을 계산해서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영국 수학자 고드프리 하디가 겁도 없이 광역 저격을 했다. 수학은 젊은이들의 게임이니, 젊은 수학자가 수학 정리를 증명하고, 늙은 수학자는 책이나 쓰란다. 나이가 들면 아 ...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탑을 만들 듯 식품이 완성된다. 이때 한 번에 쌓이는 층의 두께는 약 0.1mm로 A4 용지 한 장의 두께와 비슷하다. 인쇄가 끝난 뒤 공기를 뿜으면 필요 없는 가루는 날아가고 고체 상태의 인쇄물(식품)만 남는다.노즐이 수백 번 왕복한 끝에 수 cm3 부피의 식품이 탄생했다. 한 끼 식사가 될 만큼 충분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