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3화. 어푸어푸 행성의 영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저, 저도 함께 가면 안 될까요? 문어 님이 너무 걱정이 돼서요”“네가 시중을 잘못 드는 바람에 문어 님이 사라지셨는데, 무슨 소리냐? 넌 여기서 기다려!”현재 왕인 구릿빛 지느러미가 호통을 쳤습니다. 딱지가 왕을 달랬습니다.“한 명이라도 더 있는 게 좋으니까 함께 가도록 하시지요.”왕은 ... ...
- [이달의 과학사] 1888년 7월 23일 존 보이드 던롭, 공기타이어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잊혔습니다. 특허청마저 톰슨의 발명을 잊어버리고 던롭에게 특허를 잘못 발급했으니, 톰슨의 발명이 시대를 너무 앞서나간 셈이죠. 결국 던롭의 특허는 2년 만에 무효가 되었지만, 이를 계기로 공기타이어는 세계 전역에서 생산되기 시작했습니다. 1895년에는 프랑스에서 ...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랜덤 블록 파괴왕!’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블록이 생겨나요. 플레이어는 점수를 주는 블록을 빠르게 부숴서 점수를 얻어야 해요. 잘못된 블록을 부수면 감점! 점수를 주는 블록은 계속해서 바뀌니 주의하세요. 첫 번째 블록 놓기 코드 만들기 빨강, 파랑, 노랑 세 가지 블록이 무작위 위치에 생겨나도록 코드를 작성할게요. ➊ 코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라하과통 을션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특이한 지형이 있습니다. 마찰력이 매우 적어서 굉장히 미끄러운 지형이지요. 그곳에 잘못 들어가면 혼자 힘으로는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입니다. 출발 신호가 울리면 여러분은 그곳을 지나 건너편에 있는 골인 지점까지 가야 합니다. 역시 선착순으로 절반만 통과할 수 있습니다. 준비!”딱지는 ... ...
- [이달의 책] 집중하지 못하는 나 내 책임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오랜 논쟁이었다. 세계적인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은 어설픈 생물학이 만든 잘못된 통념을 비판한다. 그러면서도 여성과 남성 사이에 생물학적으로 몇 가지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 드 발은 영장류인 침팬지와 보노보에서 근거를 찾는다. 동시에 동물 관찰이 인간에게 적용될 수 ...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과학사를 연구하는 최형섭 교수는 “인터넷의 주인이 없다는 것은 물리적인 측면에서는 잘못된 생각”이라며 “개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케이블 기반 시설을 소유한 주체가 바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라고 밝혔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망사 용료를 내라고 청구할 수 있는 것도 이 업체들이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쓸 때 학생들이 흔히 저지르는 잘못된 식인 (x + y)n =xn + yn을 말해요. 한편으로는 이 잘못된 식이 성립되는 대수적인 공간에서의 정리를 일컫기도 하지요. 이번 문제를 통해 1학년의 꿈을 함께 이뤄 봐요. 제가 예시로 제시한 (x + y)n = xn + yn 외에 다른 1학년의 꿈도 찾아 [어셈블에게 물어봐]에 올려 .. ...
- 자격루의 두뇌, 588년 만에 깨어나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국과학기술사과장에게 뒷이야기를 들었다.“임금께서는 시각을 알리는 사람이 잘못 알리게 되면 중벌을 면치 못하는 것을 염려하여 호군 장영실에게 명하여 시각을 알리는 일을 맡길 시보 인형을 나무로 만들었으니, 이에 시각에 따라 스스로 알리므로 사람의 힘이 들지 않았다.”세종실록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못 들어오는 복제공간을 만들고 언제나 앉는 나뭇가지에 자리를 잡았다. 뭐가 어떻게 잘못된 걸까? 제일 먼저 그 곱슬머리 남자, 장폴을 원망했다. 다음에는 드론의 흉측한 모습을 원망했고, 그 다음에는 현생을 원망했다. 옆을 보니 사이먼이 어느새 가지에 앉아 있었다. 톨리의 시선을 느꼈는지, ... ...
- [이달의 책] 화석에 담긴 1억년 전 동물들의 사생활 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동기부여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비교는 잘못 쓰면 열폭이지만, 잘 쓰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모두가 안다. 행복의 최대 적은 다른 사람과의 비교라는 것을. 행복의 기준이 타인에 의해 세워지면 불행으로 귀결되기 때문에. 그러나 우리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