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민
이전
이사
천거
전출
식민
이식
d라이브러리
"
이주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회복한 경험이 있다(인류학자에 따라 논란 중). 아프리카를 떠나 동남아시아로
이주
할 때는 소수의 집단 단위로 이동했다. 오늘날의 진화론은 이렇게 개체가 고립된 소수일 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를 많이 잃는다고 본다. 유전자의 다양성이 줄어드는 것이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서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다릅니다. 이는 스웨덴 사람들이 수단으로
이주
하거나 반대로 수단사람들이 유럽으로
이주
해서가 아니라, 지역별로 각각 따로 발생한 돌연변이라는 뜻이죠. 이런 락타아제 돌연변이가 지금까지 적어도 네 종류 발견됐습니다.유전학자와 인류학자들은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나타난 시기를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같은 커다란 포유류들이 멸종할 때 모든 말도 함께 사라졌다. 기후급변과 이 지역으로
이주
한 인류의 과도한 사냥이 원인으로 보인다. 따라서 과거 1만 2000년 동안 아메리카대륙에는 말이 살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1493년 크리스토퍼 콜럼부스가 말 진화의 기원지인 아메리카대륙에 유럽에서 사육한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스칸디나비아가 기원이다. 이렇게 된 데는 사회·문화적인 영향이 크다. 다른 곳으로
이주
하는 사람은 주로 농부나 군인인데, 이런 집단은 남자가 대다수일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남자가 권력을 지닌 만큼 부부의 언어가 서로 달랐을 때는 자식에게 남편의 언어를 물려줬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안에 사는 생명체의 존재까지 추론한다.필요하다면 인류가 그 우주에 방문하거나,
이주
할 가능성도 따져본다. 물론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우주 밖’으로 가는 길은 아무도 들여다본 적 없었고, 현재로서는 찾아가볼 방법도 없다. 시인이 말한 것처럼 “아무것도 만나지 못하고, 단 한번도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이 질병을 관리하던 의사의 수가 3분의 1로 줄었으며, 한곳에 모여 살던 감염자들이
이주
정책으로 인해 도시 곳곳으로 퍼져나간 것을 원인으로 찾았다.하지만 당시엔 이런 설명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전염병이 퍼지는 원인으로는 너무 사소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복잡계 연구자들은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더 편안하다고 생각한다. 요즘에는 지구에서 은퇴한 뒤 노후를 화성에서 보내기 위해
이주
를 신청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지금 화성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주역이 된 미래를 상상해 보자. 그들은 딱히 지구를 그리워하지도 않은 채 화성을 영원한 고향으로 여기며 살 것이다. 지구밖에 몰랐던 우리와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전세계 인구는 4억 4300만 명에서 3억 5000만 명으로 1억 명이 줄었다고 밝히고 있다. 인류가
이주
하면 전염병도 따라온다. 딘 스노우 미국 뉴욕주립대 인류학과 교수가 1995년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1634년 미국에 유행한 천연두 때문에 북아메리카 북동쪽에 살던 토착민 모호크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나이로 치면 18살이구나. 우리 부모님은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살다가 결혼한 뒤 화성으로
이주
하셨어. 나는 화성에 온 뒤에 태어나서 한국은 물론이고 지구에도 가본 적이 없어.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본 게 다지. 부모님은 지구에 계신 할아버지, 할머니와 가끔 영상 메시지를 주고받으셔. 지구와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언젠가 또다시 이런 일을 겪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치 않다.“언제 또 강제
이주
가 있을지 모르겠군. 언제쯤 이런 일을 겪지 않을지….”“자네가 여기서 힘을 좀 써주게. 난 더 많은 것을 보고 배워 경성으로 돌아가겠네.”“아니야. 나는 하루라도 빨리 조국으로 돌아가서 자네들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